매일신문

통합신당 '5대5 원칙' 어디까지냐

통합신당 창당을 준비 중인 민주당과 안철수 국회의원 측 새정치연합이 '5대 5 원칙'을 어디까지 적용할지를 두고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선 양측은 창당준비단부터 시작해 임시 지도부는 비슷한 비율로 나눠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국회의원 의석 수로만 보면 126석을 가진 민주당이 2석을 확보한 안 의원 측과 비교해 절대다수지만, 독자 신당을 포기한 안 의원 측을 배려하고 통합 정신을 살리자는 취지에서 공동대표 구성이 가능하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도 "126대 2라는 숫자에 갇히면 안 된다"고 해 동등 지분 원칙에 힘을 싣는 모습이다.

하지만 양측은 '동수로 참여한다'는 원칙에만 공감했을 뿐 5대 5로 지분을 나누는 것에 대해선 아직 합의가 없었다고 선을 긋고 있다. 이 때문에 전당대회와 6'4 지방선거 후보자 공천 과정에 동수 참여 원칙이 실현될지는 미지수다. 안 의원 측이 독자 신당의 당헌 설계 당시 후보자 공천과 전당대회 등에서 배심원단이 40% 참여하는 투표 방식을 고려했던 것으로 알려져 친노(친노무현)와 강경파를 중심으로 한 민주당 측 인사의 반발이 예상된다.

후보자 공천 과정에서 안 의원 측이 '지역 몫'을 어떻게 요구하느냐에 따라 민주당 인사들의 반발이 거세질 수도 있다. 경기지사에 출마할 김상곤 경기교육감이나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 장관,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 등은 안철수 의원 측이 영입에 공을 들인 인사로, 현재로선 안 의원 측이 이들 지역에 대한 공천권을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 동수 비율을 맞추려는 안 의원 측이 호남지역 한 곳과 다른 지역 3곳 정도를 추가로 요구하면 민주당 소속의 출마예정자들과 지지 당원들의 불만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윤여준 새정치연합 의장은 4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힘과 힘이 부딪치면 힘이 센 쪽이 빨아들이는 게 역학의 원리다"며 "5대 5를 마음 놓고 내준 것처럼 보이지만 시간이 흐르면 달라질 수 있다"고 했다. 조직 기반이나 정치 경험이 부족한 안 의원 측이 불리한 협상 테이블에 놓일 수도 있다는 얘기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