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야고부] 사전투표와 재난안전통신망

6·4 지방선거 사전투표가 큰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전국 읍·면·동 단위 3천506개 사전투표소에서 30, 31일 이틀간 누구나 투표할 수 있도록 한 사전투표의 열기는 뜨겁다. 30일 하루만, 4.75% 사전투표율을 기록했다. 젊은이뿐 아니라 40, 50대 중년층도 사전투표에 나섰다.

첫날만 약 200만 명을 투표장으로 끌어들인 괴력은 사전투표의 편리함 덕분이다. 부재자투표처럼 별도 신고도 필요 없다. 출장 간 타 지역에서도, 출국을 앞둔 공항에서도, 출산을 앞둔 병원에서도 할 수 있다. 브라질 월드컵에 출전하는 홍명보호도 인천공항에서 사전투표를 하고 트랩에 올랐다.

지난해 국회의원 재'보선 때부터 도입되었지만 투표율이 미미했던 사전투표가 6·4 지선에서 인기몰이를 하는 이유는 세월호 침몰로 높아진 선거 관심 때문이기도 하지만, 요즘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편리함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다. 신분증만 있으면 한 표를 행사할 수 있다. 정치권은 10%를 돌파할 것으로 보이는 사전투표 변수의 유'불리를 따지지만, 진정한 의미는 따로 있다.

국가기간전산망으로 전국을 한데 묶어 실시간 관리하는 통합선거인명부를 활용한 사전투표제는 한국의 IT 기술과 서비스가 결합된 선거 혁명이다. 이제야 한국의 진면목이 되살아난다. 세계가 깜짝 놀랄 만큼 정교하다. 지문 인식으로 이중투표와 부정투표가 불가능하다. 6·4 지선에서 사전투표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한국식 선거 모델의 수출 내지 전수'도 가능하다. 8억 명의 유권자가 한 달간 투표하면서 부정'비리에 몸살을 앓는 인도 등은 우리식 사전투표를 도입한다면 가히 선거 혁명을 이룰 수 있다. 관심을 가질 만하다.

이런 게 행정이다. 기술과 서비스를 결합시켜 편리하게 선거 참여를 이끌어 내는 게 바로 행정 혁신이다. 이런 혁신을 전방위로 확산시켜야 한다. 가장 시급한 것이 재난안전통신망이다. 세월호처럼 대형 재난 사고가 터지면 경찰, 소방본부 등 모든 관련 기관들이 일원화된 디지털 통신으로 누구든지 현장을 단박에 보고, 듣고 알도록 해야 한다. 재난안전통신망은 192명이 사망한 대구지하철 화재 이후 도입이 거론된 지 11년이 지났고, 대통령이 국정 과제로 넣은 지도 1년 5개월이 넘었다. 재난안전통신망,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당장 도입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