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기가 시작된 3월의 어느 날(1968년), 새로 사귄 친구와 공부가 끝나고 2층 교실 밑 운동장에서 고무줄놀이를 하고 있었다.
우리 반 교실이 "드르륵" 하고 열리더니 "그기 누가 있노!"
나는 얼른 나무 뒤에 숨었다. "그기 나무 뒤에 김창희, 창희 니 맞제! 빨리 교실로 올라와 봐라!"
가슴이 두근거리고 얼굴도 화끈거리고…. 어떻게 선생님이 내 이름을 알까? 한 학년이 10반이나 되고 한 반에 80명이 넘는데 나 같은 애는 기억도 못 할 거라고(학년 초라서) 도망가 버릴까… 한참을 생각하다가 쭈뼛쭈뼛 교실로 올라갔다. 선생님 혼자서 새 교과서가 도착해서 한창 정리하고 계셨다.
"김창희 너 5학년 때 4반 했제. 너거 담임이 공부 잘한다고 칭찬하던데 6학년에서도 열심히 할 거지? 너거 요 앞 큰나무 윗집 아직도 그기 살고 있나?" 나에 대해서 다 알고 있다는 표정이셨다.
부끄럽기도 하고 놀랍기도 해서 얼굴만 빨개져 "예" 조그맣게 겨우 대답했다.
싱긋이 웃으시던 선생님께서 "이거 1반 교실에 가지고 가서 '무상지급교과서' 도장 찍어온나."
"아참, 새 교과서 신청했나."
"언지예."
"그럼 우짤라고."
"엄마하고 헌책방에 사러 갈라 캤심니더."
집안 형편이 어려워 그해에도 새 교과서를 신청하지 못했다.
"그라믄 이거 다 찍어서 너도 한 부 가지고 가거라."
고무줄놀이를 하고 있던 친구 2명도 불러서 끙끙거리며 1반 교실로 향했다.
"선생님예. 다 찍어 왔는데예."
검사를 하던 선생님이 "창희야, 이거는 도장이 안 찍혔는데, 빼묵었나. 다시 찍어 와야 되겠다."
미적미적 안 가고 선생님 눈치만 살피고 있으니까 "빨리 1반 선생님 집에 가시기 전에 갔다 온나."
"선생님예." 책을 정리하시던 선생님이 뒤를 돌아보셨다.
"지는예. 도장 찍힌 책은 안 할랍니더."
"와?"
"그냥예" 하면서 고개를 푹 숙였다.
한참을 아무 말씀도 안 하시고 더 묻지도 않고. "알았다. 그냥 가지고 가거라. 대신 다른 아이들한테는 절대로 이야기하지 마래이."
새 교과서를 받으면 지나간 달력으로(달력 종이 질이 제일 좋았다) 책 꺼풀을 입혔다. 새 책이어서이기도 하지만 나는 '무상지급교과서' 도장을 감추기 위해서 달력 종이로 꺼풀을 입히는 것이었다. 무상지급교과서는 보훈 대상 자녀나 보육원 아이들에게 배부되는 것이었다. 어느 학년에서는 책이 모자라서 그들에게도 다 주지 못한 적도 있었다.
나의 어려운 형편을 아시고 많은 선생님들께서 전과나 수련장, 문제집 등을 주셔서 친구들이 부러워했고, 나는 한껏 우쭐할 수 있었다. 그런데 교과서만큼은 '무상지급교과서' 도장이 찍혀서 나의 자존심을 완전히 무너뜨리곤 했다.
책 꺼풀이 떨어져 '무상지급교과서' 도장이 보일까 봐 떨어지지 않게 사용한 나에게 선생님께서는 칭찬도 해주셨다. 책을 참 깨끗하게 사용한다고.
어제도 팽목항에 구명조끼도 안 입은 선생님 시신이 들어왔다고 신문에 났다. 더 묻지 않고 교과서를 주신 그때 그 선생님과 신문 속에서 웃고 계신 선생님 사진이 겹치면서 나는 엉엉 울고 말았다.
김창희(대구 수성구 지산동)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