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공인인증서 대체할 방식 선점…아이디어 경쟁 후끈

PC·휴대전화로 지문인식, 가상결제 거쳐 진짜결제 등 새 방안 잇따라

'천송이 코트'를 사고 싶어 하는 중국 소비자들의 열정과 박근혜 대통령의 규제혁파 의지가 국내 인터넷 보안인증 시장을 독점해 온 '공인인증서'의 15년 아성을 무너뜨리고 있다. 공인인증서가 물러난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관련 업체들의 아이디어 경쟁이 불꽃을 튀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3월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인기리에 종영된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를 인용하며 전자상거래 공인인증 분야의 규제개혁을 주문했다.

이에 금융당국은 5월 중순부터 인터넷쇼핑몰에서 30만원 이상의 물품을 구입할 때도 공인인증서 없이 신용카드 결제를 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효과는 그다지 크지 않다. 정부가 공인인증서 제도를 폐지한 것이 아니라 공인인증서 사용의무를 면제했을 뿐이기 때문이다. 신용카드회사들은 대체보안수단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아직까지 공인인증서를 통한 결제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인터넷쇼핑몰은 여전히 공인인증서 없이는 접근하기 어렵다.

국내외 인터넷 보안인증업체들은 공인인증서가 독점하고 있던 시장을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물밑경쟁을 펼치고 있다.

결제가 이루어지는 동안 컴퓨터 및 스마트폰의 보안인증기능을 제외한 여타 기능을 모두 정지시키는 '순간 냉동' 방식은 물론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키보드 번호판의 배열을 임의로 나타나도록 해 보안기능을 강화하는 방식 등이 제안되고 있다. 공인인증서 관련 파일에 대한 접근을 근본적으로 차단해 악용을 방지하거나 컴퓨터 및 휴대전화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해 범죄자의 접근을 막는 방법도 거론되고 있다. 또 취소가 가능한 소액의 가상결제를 먼저 진행한 뒤 신용카드 사용자의 동의가 이뤄지면 본격적으로 구매물품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컴퓨터 보안업체 관계자는 "업계에서 이른바 '인증 전쟁'을 벌이고 있다"며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인터넷 결제방식으로 인정받을 경우 시장에서 한발 앞서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는 업체들이 특정 보안체계를 사용하도록 강제하지 않고 안전성 대한 '인증'에 집중하면서 점진적인 변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이미 시중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시스템(공인인증서)을 보완'대체하는 사안이기 때문에 소요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프로그램의 안전성 확보에 주력하겠다는 것이다. 향후 금융기관 및 온라인쇼핑업체들이 어떤 보안인증체계를 선택할지는 자율에 맡길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인터넷 보안영역에서 '완벽'이라는 표현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각도에서 최상의 선택을 하고자 검토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