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진 대구시장이 달성공원 동물원 이전 사업과 관련해 민간사업자 선정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밝힘에 따라 후보지로 거론된 수성구와 달성군이 조속한 이전지 결정을 요구하면서도 미묘한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다.
권 시장은 이달 3일 기자간담회에서 동물원 이전 사업과 관련해 "당장 결정해야 할 것도, 할 수 있는 사업도 아니다"고 했다. 이전 사업은 민자 사업으로 추진할 수밖에 없어 민간사업자가 선정된 뒤 이전지 결정을 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권 시장은 자신의 선거공약에서도 동물원 이전 사업을 제외했다. 이에 따라 동물원 이전 사업이 상당 기간 늦춰질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구의 현안인 동물원 이전은 2010년 달성토성 복원 사업을 위해 김범일 전 대구시장이 추진하다 임기 말까지 결론을 내지 못했다. 대구시는 지난해 9월 연구기관 용역을 통해 구름골(수성구 삼덕'연호동)과 문양역(달성 다사읍), 대평(달성 하빈면) 등 3곳을 이전 대상 후보지로 정했다. 하지만 이전 후보지가 위치한 수성구와 달성군 2곳이 동물원 유치를 두고 첨예한 갈등을 보이자, 대구시가 양측 눈치만 살피며 입지 선정을 차일피일 미뤄왔다. 현재 이전 사업에 필요한 후속 작업은 전면 중단된 상태다.
권 시장의 입장 표명에 대해 수성구는 반발하고 있다. 구름골이 도시계획상 동물원으로 계획돼 있는 만큼 동물원으로 조속히 개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어쩔 수 없이 이전지 선정이 늦어진다면 해당 지역의 개발제한구역 해제라도 빨리 해달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삼조 수성구의원은 "구름골은 20년 넘게 개발제한구역에 묶여 주민들이 재산권 행사를 전혀 못하고 있다"며 "자꾸 늦춰지면 주민들의 피해와 반발이 커질 것이다"고 했다. 수성구의회는 조만간 의장이 선출되면 회의를 거쳐 동물원 이전 특별위원회를 새롭게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달성군은 상대적으로 느긋한 입장이다. 대구시의 구체적인 방안이 나올 때까지 추이를 지켜본 뒤 대응 전략을 짠다는 것이다. 달성군 관계자는 "입지가 빨리 선정돼야 한다는 것이 우리 입장이지만 무리하게 서두르는 것은 옳지 않다. 대구시가 동물원 이전을 관 주도가 아닌 민간사업자 주도로 방침을 바꾼 것은 현명한 선택이라고 본다"고 했다. 달성군의 이 같은 태도는 사업성으로 봤을 때 수성구보다 유리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대구시 관계자는 "어차피 이 사업은 대구시 재정 사업으로 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민자 유치가 돼야 가능하다. 100일 추진위원회에서 구체적인 구상이 나올 것으로 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