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락객이 실수로 독버섯을 먹는 사례가 많아 주의가 요구된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이종배 의원(새누리당'충북 충주시)이 산림청으로부터 받은 '독버섯 중독사고 현황'에 따르면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에서 독버섯 섭취로 인한 신고는 204건에 달했으며, 이 가운데 23명이 사망했다.
대구에서도 독버섯 중독 증상 때문에 119구급차로 이송된 사건이 ▷2011년 3건 ▷2012년 7건 ▷지난해 3건으로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지난달 24일 제주도 애월읍에서도 일가족 3명이 산에서 채취한 야생버섯을 조리해 먹다가 중독 의심 증세를 보여 병원에 이송돼 치료를 받은 바 있다.
버섯은 20~25℃의 서늘하고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란다. 소방 당국에 접수되는 독버섯 사고는 장마가 끝난 후인 7월에서 10월 사이, 특히 추석 전후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독버섯 구별법에 대한 속설도 일반인들을 혼란에 빠뜨릴 수 있어 문제다. 독버섯은 화려한 원색에 곤충들이 피한다거나 대에 띠가 없고 세로로 잘 찢어지지 않는다는 등의 잘못된 정보들이다.
독버섯은 종류가 100가지가 넘어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몇 가지 특징으로 구분하기는 불가능하다.
실제로 독버섯 가운데는 투박하게 생긴 것도 많고 딱정벌레과의 유충은 독버섯을 포함한 버섯류를 먹이로 삼고 있다. 또 주름버섯목, 개나리 광대버섯과 같은 독버섯은 대에 띠가 있다.
수많은 독버섯의 종류만큼이나 중독 증상도 다양하다. 버섯 종류와 체질에 따라 짧게는 몇 분에서 길게는 하루 사이에 구토, 설사, 경련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국립생물자원관 김창무 연구관은 "버섯은 습도나 온도에 따라 하루 사이에도 색깔이나 모양이 잘 변하기 때문에 익숙한 버섯인 것 같다고 함부로 먹으면 위험하다"며 "버섯류를 비롯한 산나물 등은 시중에서 정식으로 유통되는 것만 섭취해야 한다"고 했다.
대구소방안전본부 관계자는 "이상 증세가 느껴질 경우 먹은 것을 토해내고 가능한 한 빨리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며 "병원으로 갈 때 먹은 버섯이 있다면 함께 들고 가 독버섯인지 확인하면 좋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