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역사 속의 인물] 부마항쟁 두고 대통령과 견해 달랐던 김재규

박정희 유신정권의 종말에 결정타를 날린 사건이 부마항쟁이다. 독재와 이어지는 긴급조치 발동, 김영삼 당시 신민당 총재에 대한 국회의원 제명으로 1979년 정국은 그야말로 살얼음판이었다. 김 총재의 정치적 고향인 부산도 예외는 아니었다. 10월 16일 부산대 학생들이 먼저 시위에 불을 댕기자 동아대생들이 가세했고, 상당수 시민들이 동참했다.

사태 파악을 위해 부산에 내려간 당시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은 시위의 심각성을 절감했다. 정부가 그해 오늘 부산에 계엄령을 발동해 시위는 수면 아래로 내려앉았지만 이웃 도시 마산에서 유신철폐를 외치는 대규모 정권 퇴진 운동이 이어졌다. 급기야 시위는 18, 19일 마산 전역으로 확대됐고 정부는 위수령을 발동해 시위를 진압했다. 나흘간 벌어진 부마항쟁에서 120여 명이 군사재판에 넘겨졌다.

대통령과 경호실장 차지철은 "탱크로 100만 명쯤 깔아뭉개도 문제될 게 없다"며 강경대처를 주문했지만 김재규는 이렇게 해서 정국을 안정시킬 수 없다는 입장이었다.

계엄령과 위수령 발동 후 부마항쟁은 진압됐지만 그 뒤 1주일도 되지 않아 김재규는 주군으로 모시던 박 대통령을 시해했고, 유신체제도 종말을 맞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