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리전투에서 산화한 독립군을 위해 작은 돌비석이라도 하나 세워주기 바란다." 일제강점기엔 독립운동에 젊음을, 6·25전쟁 땐 조국 수호에 몸을 바친 독립운동가 강근호(姜槿虎). 1888년 오늘 함경도 정평에서 태어났으며 조선 패망 뒤 1916년 함흥중학교 재학 중 경찰 수배를 받자 만주로 망명, 독립운동의 길을 걸었다. 1919년 3·1만세운동 땐 연변(延邊) 용정(龍井)에서 만세운동에 참여했고, 신흥무관학교에 몸을 담았다. 1920년 북로군정서 중대장으로 청산리(靑山里)전투에 참전했다. 또 1921년엔 시베리아로 건너갔다가 러시아 적군과의 교전으로 한국 독립군 의병대가 참변을 당한 흑하사변(黑河事變: 자유시참변)을 겪었으며 이후 이르쿠츠크 고려혁명군관학교 교관으로 지내다 1922년 공산주의 반대 투쟁으로 이르쿠츠크 형무소에서 1년간 복역했고 출옥 후 다시 만주에서 독립운동과 독립군 양성에 나섰다.
광복 후 1947년 귀국, 1949년 육군사관학교 소위로 임관해 이듬해 6·25전쟁에 연대장으로 참전했다. 특히 전쟁 중 19세에 학도의용군으로 자원입대한, 독립운동가 이시영(李始榮)의 증손녀 이정희(李丁熙)를 1952년 1월 강원도 인제에서 만나 1953년 5월 진중(陣中) 결혼했다. 1954년 전쟁공로로 미국 정부의 동성무공훈장을 받았다. 1956년 예편 뒤 부산에 정착, 1960년 삶을 마쳤다. 1977년 건국포장,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됐고, 2000년 부산 해운대 장산에 기념비가 세워졌다.
정인열 서울지사장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