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회 2014년도 행정사무감사(11월 7~20일)가 후반전으로 접어들면서 열기를 더하고 있다. 각 상임위별로 시정 전반에 대해 실시되고 있는 이번 감사에서 주목받은 시의원들의 발언을 정리했다.
▶차순자 시의원(문화복지위원회)=대구문화재단의 기형적이고 비효율적인 조직체계에 대해 비판하고 개선을 요구했다. 대구문화재단은 대표와 사무처장, 대구시 파견직원(경영관리부장)을 제외한 32명의 직원 중 무려 72%에 달하는 23명을 문화사업부에 배치하고 있다. 문화기획부와 경영관리부(부장 제외)에는 각각 4명과 6명의 직원이 있을 뿐이다.
차 시의원은 "이런 기형적인 조직으로는 운영의 효율성뿐만 아니라 지휘체계에도 많은 문제점이 불거질 수밖에 없다"면서 "문화재단이 제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조직체계를 획기적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재구 시의원(건설교통위원장)=도로포장에 값비싼 일반 아스콘을 사용해 세금을 낭비하고 있는 대구시건설본부를 강력히 질타했다. 조 위원장은 "건설폐기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에서 아스콘 소요량의 25~40% 이상을 순환골재 재활용제품으로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면서 "경남도, 창원시, 천안시 등 다른 지역에서는 상온재생아스콘을 사용해 도로예산을 절반 가까이 줄이고 있는데, 대구는 비싼 일반 아스콘만을 고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상온재생아스콘은 폐아스콘 골재 80%에 신골재 20%를 섞어서 만든 아스콘으로 일명 '리바콘'으로 불리며, 가격은 일반 아스콘에 비해 40% 정도 저렴하다.
▶박일환 시의원(경제환경위원장)'최길영 시의원(운영위원장)=박일환'최길영 위원장은 신천과 금호강, 팔공산을 세계적인 명품 관광자원으로 개발하기 위해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을 촉구해 눈길을 끌었다.
박 위원장은 특히 "신천은 많은 시민들이 가족단위로 모이는 공간으로 대구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적인 곳인 만큼 신천을 금호강과 연계해서 카누를 탈 수 있도록 친환경 수상레포츠 공간으로 개발할 것"을 주장했다. 그는 "낙동강 원수를 신천으로 흘려보내 다시 금호강을 거쳐 낙동강으로 환류되도록 하면 환경문제를 유발하지 않고 신천을 미래지향적으로 되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마 낙동강 원수를 유입할 수 있는 관로가 대백프라자 인근까지 매설돼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최길영 위원장은 팔공산 갓바위에 케이블카를 설치할 것을 촉구했다. 최 위원장은 "케이블카를 이용해 노인과 장애인 등 교통약자뿐만 아니라 요우커를 비롯한 국내외 관광객들이 불교성지인 갓바위를 보다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산업 발전을 위해 갓바위 케이블카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창은 시의원(건설교통위원회)=범안로 건설 당시 특혜의혹을 제기해 주목을 받았다. 김 시의원 주장의 핵심은 당시 두리봉 터널 도로 공사비 625억원과 지산'범물 주민들이 범안로 개통을 위해 부담한 234억원, 범물~안심 구간 대구시의 토지보상비 250억원이면, '범물~대구스타디움 인근 범안삼거리' 구간의 공사를 민자유치 없이 대구시 독자적으로 할 수 있었다는 것.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구시는 교통량도 부족한 두리봉 터널 우회도로를 만들고, 민자투자 기업의 이익을 보장하기 위해 9개 업체에 각종 특혜와 이면계약, 수의계약을 남발했다고 조목조목 지적했다.
김 시의원은 "이게 바로 게이트이고 특혜 시비"라면서 "지난 12년 동안 통행료 명목으로 대구시민의 호주머니에서 챙길 건 실컷 챙기고 이제 와서 당시 공사비(1천683억원)보다 많은 1천880억원을 매입비로 내놓으라는 것이 현실"이라고 비판했다.
석민 기자 sukmin@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