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계약을 남발, 세금낭비를 불렀다며 경북도의회로부터 강한 질타를 받았던(본지 11월 8일 자 1면) 경상북도교육청(교육감 이영우)이 각종 공사 및 물품구매 수의계약 과정에서 역내 업체를 철저하게 외면했다는 지적까지 받고 있다.
경북도의회 김수문(사진'의성) 도의원은 24일 도의회 본회의에서 진행되는 도정 질문과 관련, 미리 배포한 자료를 통해 "경북도교육청이 잦은 수의계약을 해 혈세를 낭비한 것은 물론, 공사 및 물품 구매 계약에서 지역 업체를 상당 부분 배제했다"고 주장했다.
김 도의원이 지난해 1년치, 올해 8개월치 등 20개월간 경북교육청이 했던 공사 및 물품계약 체결 현황을 살펴본 결과, 1인 수의계약 1천517건 가운데 무려 74%인 1천128건이 역내가 아닌 역외 시도 업체와의 계약이었다. 수의계약 4건 중 3건을 역외 업체가 받아가고 4건 중 1건만 역내 업체가 수주한 것이다.
김 도의원은 "지역업체를 참여시켜 경쟁입찰을 했다면 경북에 돈이 그대로 머무르고, 경쟁을 통해 교육청 경비도 아꼈을 텐데 왜 이런 방식을 택했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또 "수의계약이란 지역 업체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제도인데 경북교육청은 오히려 수의계약을 통해 외지업체에 일감을 주었다. 역내 업체가 얼마나 많은 피눈물을 흘리고 있는지를 교육청은 아느냐"고 따졌다.
김 도의원에 따르면 대구교육청의 경우, 최고 책임자가 직접 나서 전기 수배전반 계약의 60%(총 공사물량 129억원 중 78억원)를 지역업체와 계약, 경북교육청과 극명한 대비를 보이고 있다. 김 도의원은 "높은 기술력을 필요로 하는 등 특별한 사항이 아니라면 어려운 경제여건 하에서 지역 중소업체를 살리기 위한 배려가 마땅히 있어야 한다"라며 "지역 업체를 홀대하는 '갑 중의 갑' 경북교육청 공무원들의 의식을 뜯어고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김 도의원은 지역 업체를 외면하는 경북교육청의 근본적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경상북도교육청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촉진 조례'를 제정하라고 촉구했다. 이 조례를 통해 제도적으로 역내 업체들의 수주확대를 유도하자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