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안로 무료화 논란이 재점화됐다.
권영진 대구시장이 최근 시의회 답변에서 범안로 무료화 공약과 관련, "아직 스터디가 덜 됐다"고 말해 의회의 질타를 받으면서 세간의 관심을 끈 데 이어 대구의 야당 및 무소속 의원들이 2일 성명을 내고 '대구시장은 즉시 범안로 통행료를 무료화하라'고 주장하면서 다시 불붙고 있다.
대구의 야당 및 무소속 의원으로 구성된 대구민주자치연구회 '파랑새'는 "무료화 공약을 내놓은 권 시장은 '공부가 덜 됐다'고 말할 게 아니라 시민 편익을 높일 수 있는 무료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범안로 무료화 공약을 책임지고 실천하라"고 밝혔다.
범안로 무료화 논란은 앞산터널로 개통 전인 2012년부터 불거졌지만 '개통 후 통행량 추이를 지켜본 뒤 판단하겠다'는 대구시의 방침으로 한동안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그러나 권영진 시장이 공약으로 내걸면서 다시 주목을 받았고, 얼마 전 시의회에서 '공부가 덜 됐다'고 답변한 것이 알려지면서 부각됐다.
특히 혁신도시 입주, 수성의료지구 및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테크노폴리스 진입도로 개통, 대구야구장 신축 등 범안로가 동구~수성구~달서구~달성군을 잇는 중요한 '가교' 역할을 할 것으로 보여 이들 지역 간의 원활한 연결 및 이동 등을 위해선 범안로 무료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대구경북연구원은 범안로를 무료화할 경우 통행량이 73%까지 늘어나고, 이를 경제적으로 환산하면 연간 200억원의 가치가 있다고 분석한 자료(2008년)를 내놓기도 했다.
그러나 대구시는 여전히 범안로 무료화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이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민간사업자와 무료화 협약을 맺기도 쉽지 않고, 관리'운영권을 시가 인수하기 위해선 거금이 필요하며 자칫 다른 사업에도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며 "그러나 범안로 무료화는 권영진 대구시장의 공약 사항인 만큼 단계적으로 무료화를 추진하는 등 각계각층과 전문가들의 중론을 모아 무료화 방안을 고민해 보겠다"고 말했다.
한편 앞산터널로의 통행량이 재정지원 협약 기준에 육박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대구시가 범안로에 이어 앞산터널로에도 시 예산을 지원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시는 앞산터널로 운영 민간업체와 최소운영수입보장(MRG) 협약을 맺고, 앞산터널로의 통행료 수입이 50% 이상 80% 미만일 때 초기 5년간 차등적으로 재정 지원을 하기로 했기 때문. 실제 2013년엔 협약 대비 각각 34.12%, 34%이던 통행량과 통행료 수입이 지난해 12월 47.61%, 45.40%로 올랐다.
이호준 기자 hoper@msnet.co.kr
최두성 기자 dschoi@msnet.co.kr
서광호 기자 kozmo@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