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정국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당초 무난히 통과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이 후보자의 부정'비리 의혹은 연일 꼬리를 물고 나오고 있어 여권 내에서도 위기감이 팽배해있다. 여기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신임 당대표가 취임 일성으로 박근혜정부와의 전면전을 선언하면서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여야 간 전면전으로 번질 가능성도 있다.
이 후보자는 지명 당시 '준비된 국무총리 후보자'라고 불릴 정도로 국회 인준 전망이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부동산 투기 의혹, 삼청교육대 근무, 병역 특례, '황제특강' 등 부정'비리 의혹이 계속 나왔다. 여기에 후보자 지명 이후 언론사 간부에게 전화해 자신에 대한 의혹보도를 막았다는 내용이 담긴 녹취록이 공개되면서 논란이 더욱 커지는 상황이다.
새누리당은 의혹에 대한 해명을 듣고 정책을 검증하는 청문회를 열자는 입장이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신변잡기나 사생활보다 정책 소신과 자질 검증에 집중해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언론 외압 의혹까지 제기되자 여권에서도 다소 당혹스러운 기류가 흐른다. 야당이 부정적 언론관을 이유로 통과를 저지하면 박근혜정부의 인사 난맥상이 부각돼 큰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국회 인사청문특위 여당 간사인 정문헌 의원은 9일 한 라디오 방송에서 "이 후보자가 '김영란법' 논의과정에서 보여준 언론관이 내일 청문회를 통해 규명되고 오해가 풀릴 것"이라고 말했다.
새정치연합은 일전을 다짐하는 분위기다. 문 대표를 비롯해 친노 강성 지도부 체제로 재편되면서 인준안 부결을 불사한 '송곳검증'을 준비하고 있다. 문 대표는 이날 백범 김구 묘역에 참배한 뒤 "부동산 투기와 병역 의혹에 이어 언론통제 의혹까지 제기되는 것을 보면서 과연 총리로서 적격인가 하는 의문을 갖게 됐다"고 비판했고, 정청래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언론의 자유를 짓밟는 반헌법적 인사"라며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결국, 10일부터 열릴 청문회는 여야 관계 향배를 가를 분수령이자 여야 신임 지도부의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문 대표로선 여권과 각을 세워 차기 대선주자로서 포석을 다질 기회지만,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대구 동을)에게는 야당의 파상 공세를 어떻게 극복할지 보여줄 첫 무대가 될 공산이 크다. 새누리당 지도부가 8일 만찬을 열어 이 후보자 통과에 전력을 기울이기로 다짐한 것도 전면전 대비 훈련이었던 셈이다.
이지현 기자 everyda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