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하는 방법은 잘 알려져 있다. 혼자 힘으로 끊기 어렵다면 금연 클리닉을 찾아가도 된다. 성인들의 SNS 중독 혹은 의존증도 흔해졌지만 이를 극복할 방법은 아직 찾기 어렵다. SNS와 멀어질 몇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스마트폰을 잠시 내려놓고 이중 내게 맞는 방법을 골라보자.
1. 중독임을 자각한다: 분 단위로 SNS에 접속한다든지, SNS를 확인하지 못하면 불안한지 등을 살펴본다.
2. SNS를 시작하게 된 계기를 떠올려본다: SNS를 시작할 때와는 다른 용도로 SNS를 활용하고 있다면 처음 마음가짐으로 돌아가려고 노력한다.
3. 시간을 정한다: SNS에서도 여러 활동이 있다. 활동들을 쪼개 각각에 시간을 배치한다. 예를 들면 페이스북 알람을 확인하는 데 5분, 사진 올리는 데 10분 등 모든 활동에 시간을 정해놓고 지키려고 노력한다.
5. 하루 일이 끝난 다음 SNS에 접속한다: 시간표에 맞게 SNS 활동을 하되 모든 일과가 끝난 다음에 접속할 것을 스스로와 약속한다.
6. 부수적인 인맥은 끊자: SNS 상에 친구 관계를 맺고 있는 친구가 많을수록 SNS에 정보가 넘쳐난다. 과도한 정보는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SNS에서도 알고 지내고 싶고 연락을 자주 할 수 있는 친구를 남기고 연락을 하지 않는 사람들과는 관계를 끊자.
7. 마감이 급한 일이 있을 때는 계정을 닫자: 급한 마감을 앞둔 일이 있다면 계정을 잠깐 닫아두자. 그래도 끊기가 힘들면 보조 프로그램을 활용해보자. '콜드 터키'(Cold Turkey)를 다운받으면 사용자가 선택한 웹사이트로 접근을 일정 시간 차단해준다. '소셜네트워크 리미터'(Social Network Limiter)를 깔면 페이스북과 트위터, 인스타그램 사용 시간을 제한시킬 수 있다. 사용 시간 한도를 초과하면 접속이 차단되게 설정할 수 있다.
8. 대체할 활동을 찾는다: SNS로 낭비하는 시간을 쏟을 대체 활동을 찾는다. 여기에는 새 언어를 배우거나 악기 연주, 각종 모임 참석하기, 책 읽기, 요리하기, 산책하기 등이 있다.
9. 위의 방법 중 아무것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숨을 깊게 쉬고 영구적으로 계정을 삭제한다.
김의정 기자 ejkim90@msnet.co.kr
참고: 위키하우(www.wikihow.com) '소셜 네트워킹 중독 극복하는 법'(How to Defeat a Social Networking Addiction)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