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건설경기 호조에 힘입어 지역 건설업의 토양을 굳게 다질 때라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쏟아지고 있다. 아파트 신규 분양이라는 동력을 통해 건설업계 체질이 개선되자 IMF외환위기 이후 눈물을 머금고 내려야 했던 '건설명가 대구' 간판을 다시 달자는 주장이다.
건설시장 규모는 커졌고, 곳간도 차곡차곡 쌓였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대구 주택시장은 가격 상승률, 아파트 청약경쟁률, 경매낙찰률 등에서 전국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대한건설협회 대구광역시회가 밝힌 2014년도 건설사 공사실적 신고자료에서도 대구 건설사들의 지난해 매출액은 2조3천783억원으로 전년도 2조2천152억원에 비해 1천631억원이 늘어났다. 이는 2008년 이후 최대 실적이다.
대구 건설이 제2의 부흥기를 맞을 것이라는 기대감도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문을 닫거나 주인이 바뀐 청구'우방'보성 등을 대신해 한라공영, 서림 등 후발 건설사들이 바통을 이어받고 있다. 건설 관련 협회도 분양 봄바람을 타고 긴 동면에서 깨어났다. 지난해 처음 분양대행사를 중심으로 한 대구경북마케팅협회가 결성됐고, 그간 유명무실했던 광고산업협회도 신임 회장이 취임하면서 관계 기관에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서한 조종수 대표는 "IMF사태로 우방'청구'보성이 무너졌고, 2000년대 중반부터 2010년 말까지 꼬박 5년간 건설 빙하기가 몰아쳤다"며 "모처럼 분양 열풍을 타고 찾아온 건설 해빙기를 기회로 민'관이 합심해 건설 토양을 단단히 다질 때"라고 강조했다.
건설 살림을 살찌울 대구시의 적극적 지원도 절실하다. 지역 건설인들은 과거 대구 건설사가 전국을 호령할 수 있었던 큰 원동력 중 하나가 민'관 협업이라고 한목소리로 말한다. 건설사들은 역외 업체들보다 자본력에서 밀려 부지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열세를 대구시의 행정적 지원으로 만회하자는 설명이다.
단적인 예로 대구테크노폴리스에는 모두 24개 아파트 단지에 1만6천631가구가 분양됐지만 이 중 지역 업체가 공급한 것은 3천482가구(17%)에 불과하다. 외지업체 시장 주도는 지역 자본 유출을 가속화시킨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IMF사태 이전만 하더라도 대구의 굵직한 건설 사업은 대구 건설사들이 도맡아 했다. 100위권 업체 중에 청구'우방'화성'보성'동서'영남 등 7개 건설사가 있었고 한라주택'대백건설'창신'평광 등도 200위권 안에 들었다. 등록업체 외에 삼산 등 10개 사가 더 대구 건설 곳간을 지키고 있었다.
한 건설사 대표는 "IMF 외환위기 전엔 대구 건설사들이 대구도시공사와 함께 주택연구소를 만들고 대규모 택지개발지구 및 산업인프라 사업을 함께 논의하고 진행했다. 이제 대구시와 건설인들의 공론 장을 만들고 지역 업체 용적률 인센티브 도입 등 다양한 의제를 시장에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상준 기자 new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