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성완종 녹취록' 신속히 전면 공개하라

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자살한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정치권 금품제공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법과 원칙에 따라 성역 없이 엄정히 대처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도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성역 없는 철저하고 신속한 검찰 수사"를 촉구했다. 지난 11일 오후 성 전 회장의 빈소를 찾아 조문한 뒤 취재진에게 "빨리 사실 확인이 되길 바란다"면서도 "의혹만 가지고 얘기할 수는 없다"고 한 것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다. 잘못 대응했다가는 여권 전체가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위기감이 읽힌다.

대검찰청도 김진태 검찰청장 주재로 긴급 간부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그러나 의혹 규명의 키를 쥐고 있는 성 전 회장이 자살했기 때문에 실체적 진실에 얼마나 접근할 수 있을지는 현재로선 예단하기 어렵다. 주변 수사를 통해 금품 제공 정황을 파악했다 해도 이를 최종적으로 확인할 당사자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가 있지만 검찰은 최선을 다해 신속히 결과를 내놓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검찰의 신뢰도 저하는 물론 이 사건으로 지난해 세월호 정국 때처럼 나라 전체가 한 발도 나아가지 못하는 사태가 재연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성완종 사건' 때문에 공무원연금 개혁은 물 건너갔다는 소리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성완종 사건이 시급한 국가적 현안을 모두 집어삼키는 블랙홀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이는 박근혜 정권은 물론 국민 전체에게도 최악의 시나리오이다.

실체적 진실의 규명을 위해서는 검찰의 성역없는 철저한 수사 의지 못지않게 현재 입수 가능한 모든 자료가 검찰에 제공되어야 한다. 그런 자료 중 가장 주목받고 있는 것이 성 전 회장이 자살하기 전 경향신문과 인터뷰한 내용이 담긴 '녹취록'이다. 현재까지 경향신문이 공개한 것은 전체 50분 분량 중 3분 51초에 지나지 않는다.

나머지 부분의 내용에 대한 의문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다. 정치권의 전면적 물갈이를 몰고 올 메가톤급 폭로가 담겼을 것이란 소리도 나온다. 이런 상태가 오래가면 검찰 수사의 차질은 물론 성완종 사건이 국가적 현안을 빨아들이는 힘과 속도는 더욱 커질 것이다. 신속한 전면 공개가 필요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