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도 보리 문동의 저력
평소에 친분이 있는 경상도 사람들이 서로 만나면 나누는 인사말 중에 "문디 자슥, 몸 성히 잘 있었느냐" 는 말을 할 때가 있습니다. 이 말을 듣고 있노라면 덕담인지 흉을 보는 것인지 구분이 안 될 때가 있고, 괜스레 불쾌했던 기억이 나곤 합니다.
여기서 '문디'란 말은 '문동'이란 단어에서 온 것입니다. 문동이 문디로 변한 사연은 이렇습니다.
선비의 고장 경상도 어느 고을에는 어린 아이들을 위한 배움의 요람인 서당이 많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마을에는 늘 학동들의 글공부 소리가 메아리가 되어 온 마을에 울려 퍼졌다 합니다.
여기서 글 읽는 아이, 즉 문동이란 말이 나왔고, 이 문동이란 말이 경상도 발음으로 점차 변하여 '문디'로 불리게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열심히 배우고 노력하는 선비정신을 교훈 삼아 오늘 하루도 열심히 살아가는 대구경북인이 됩시다.
김영욱(경산시 하양읍)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