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 운전이 결정된 월성원전 1호기의 재가동이 난항을 겪고 있다. 한국수력원자력과 지역 주민들이 재가동에 따른 보상금 규모를 둘러싸고 큰 입장차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월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월성 1호기 재가동을 결정하자 한국수력원자력과 동경주대책위원회는 3월 25일 '월성 1호기 재가동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해 보상금 논의를 시작했다.
하지만 보상금 총액을 두고 양측의 대립은 계속됐다.
한수원은 1천100억원의 보상금을 제시한 반면 대책위는 2천800억원을 요구해 협상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최양식 경주시장과 조석 한수원 사장, 동경주대책위 공동대표단은 지난달 29일 심야 회동을 가진 뒤 고리원전 수준인 1천310억원 선에서 기본 합의를 이뤄냈다.
그러나 이 결정에 대한 최종 합의는 또다시 미뤄졌다. 동경주대책위원회에 소속된 감포읍과 양남면, 양북면 3개 읍면에서 각각 4일 오전 대책회의가 열려 이번 안건을 논의했지만 월성원전 소재지인 양남지역 주민들과 양북면 주민들이 '공청회와 설명회가 필요하다'며 최종 합의를 미룰 것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해당 주민들은 14일과 15일 공청회와 설명회를 열 예정이어서, 이때 주민 합의에 이른다 해도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재가동 승인 기간 등을 고려하면 아무리 빨라도 이달 말이 돼야 월성 1호기는 재가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당초 이달 초 재가동 계획을 세웠지만 한 달가량 일정이 미뤄지는 것이다.
월성원전 관계자는 "보상금 논의 기간 동안 좀 더 철저하게 계획예방 정비를 해 재가동이 시작되면 주민들이 안심하고 믿을 수 있는 원전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경주 이채수 기자 csl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