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는 1937년 닭에서 처음 발견됐다. 모양이 태양의 코로나와 비슷하다 하여 코로나 바이러스란 이름을 얻었다. 처음에는 조류만 감염되는 것으로 여겼다. 세월이 흐르면서 개, 돼지, 소 등도 감염된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인간까지 감염된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은 더 뒤였다. 1965년, 미국의 바이러스 학자 티렐과 비노는 감기 증상을 보이는 어린아이의 콧물에서 이 바이러스를 검출해 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인간이 가장 흔히 앓는 질병인 감기의 원인 중 하나였다.
첫 발견 이래 코로나 바이러스의 변종은 6종에 지나지 않았다. 그렇다고 위력까지 무시할 수는 없다.
2002년 11월 중국 광둥성에서 발생해 10개월 동안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었던 사스(SARS'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 역시 코로나 바이러스의 한 변종이었다. 사스는 17개국에 걸쳐 8천273명의 환자를 냈고 이 중 775명이 숨졌다. 치사율이 10%에 육박한 셈이다.
메르스(MERS) 공포가 우리나라를 덮치고 있다. 지난달 바레인에서 입국한 60대 남자가 메르스 감염환자로 밝혀진 후 거의 매일 추가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
메르스는 2012년 9월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처음 발생했다. 메르스의 공식 명칭은 '중동 호흡기 증후군 코로나 바이러스'다. 이름에서 읽을 수 있듯 코로나 바이러스의 6번째이자 최신 변종이다.
치사율 역시 치명적이다. 5월 21일 현재 전 세계 메르스 환자는 1천154명이다. 이 가운데 471명이 사망했다. 치사율이 40%를 넘었다. 물론 치사율은 발병 국가의 대응 능력과 의료 수준에 따라 들쭉날쭉하다. 그렇지만 대응 능력이 뛰어나고 의료 수준이 발달했다고 해서 감염의 공포를 털어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원래 바이러스 청정지역에 가까웠다. 사스도, 지난해부터 전 세계를 강타했던 에볼라 바이러스도 우리나라엔 이렇다 할 피해를 주지 못했다.
이제 메르스가 우리나라의 바이러스 청정국 지위를 뒤흔들고 있다. 중동을 제외하고 확진 환자 5명 이상이 나온 유일한 국가가 됐다. 메르스의 진앙지 중동 국가 다음으로 메르스 최다 발생국가가 된 것이다. 감염자가 아무런 제재 없이 중국에 건너갔다 발병 사실이 확인돼 국제적 망신까지 사게 생겼다.
방역엔 한 치의 허점도 있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이번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가 일깨우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