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유승민 "아직…" 친박 "하루 이틀 더" 시한 넘겼다

劉 자진사퇴 가능성 낮아…친박·비박 행동하긴 조심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6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유승민 원내대표를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6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유승민 원내대표를 바라보고 있다. 연합뉴스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6일 국회법 개정안 처리(표결 불성립) 후에도 거취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이에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압박해 온 새누리당 내 친박계는 하루 이틀 더 기다린 뒤 대응 방안을 내놓기로 했다.

유 원내대표는 새누리당의 불참에 따라 의결 정족수 부족으로 국회법 개정안에 대한 표결 자체가 무산된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오늘 (거취에 대한 입장 표명)은 없다"고 말했다. 당초 친박계는 유 원내대표가 결자해지 차원에서 당청 갈등의 불씨였던 국회법 개정안을 처리한 뒤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었다.

하지만 유 원내대표는 이날도 자신의 거취에 대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유 원내대표의 침묵은 예정된 수순이었다. 유 원내대표는 앞선 5일 기자들의 질문에도 '6일 거취에 대한 언급은 없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여권 분위기상 유 원내대표의 선택은 두 가지로 좁혀질 전망이다. 7, 8일쯤 전격적으로 사퇴 선언을 하든가, 아니면 20일까지 추경예산안을 처리한 뒤 사퇴한다는 시나리오가 거론되고 있다.

친박계는 바빠졌다. 친박계 김태흠 의원은 7일 오전까지 유 원내대표의 입장 표명을 기다린 후 반격에 나설 뜻을 밝혔다.

김 의원은 6일 국회 본회의 도중 기자들과 만나 "내일 오전까지 기다렸다가 (유 원내대표의) 거취 표명에 변함이 없다면 의원총회 소집 요구서를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의 친박계 의원들 역시 유 원내대표가 결심을 할 수 있도록 하루 이틀 더 기다리겠다는 뜻을 내놨다. 김태환 의원은 "하루 이틀 더 시간을 가지는 것이 유 원내대표의 명예에 도움이 된다면 못 기다릴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유 원내대표가 하루 이틀 사이 사퇴 의사를 밝힐 가능성은 높아 보이지 않는다. 유 원내대표가 오는 20일까지 추가경정예산안을 처리하기 위해 야당과의 협상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 살리기를 바라는 여론을 물리치지 않겠다는 취지다. 나아가 야당과의 추경 협상이 원만하게 진행되지 않을 경우 유 원내대표의 거취 결정은 더 늦어질 가능성이 높다.

정치권에선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최고위원이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 대표가 '여당 원내대표가 대통령을 이길 수는 없지 않느냐'는 이유를 내세워 사퇴 요구 카드를 꺼낼지, '유 원내대표가 물러날 명분이 없다'는 사퇴불가론에 힘을 실어줄지 귀추가 주목된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당내 주류와 친박계 모두 상대가 어떤 공격을 해올지를 지켜보고 있는 형국"이라며 "지난달 25일 유 원내대표를 재신임했던 당내 여론이 국회법 개정안 처리 이후 어떻게 변했는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유광준 기자 jun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