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은 20일 최고 의결기구인 중앙위원회에서 사무총장직 폐지를 골자로 한 1차 혁신안을 난항 끝에 의결했다.
그러나 현행 최고위원회 폐지를 비롯해 선출직 평가위 구성 및 현역의원 교체지수 마련,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도입 여부를 비롯한 '공천 룰' 결정 등 폭발성이 큰 예민한 사안들의 처리는 원만하게 진행될지 미지수다.
이날 혁신안은 기립 투표에 부친 결과 재적 555명 가운데 참석 395명, 찬성 302명으로 가결됐다.
통과된 내용은 사무총장제 폐지를 비롯해 ▷부정부패 등으로 직위 상실 시 재보선 무(無)공천 실시 ▷당원소환제 도입 및 당무감사원 설립 ▷부정부패 연루 당직자의 당직 박탈 ▷시도당 공천권 강화 등이다.
이번 혁신안 통과로 사무총장 직제가 없어지면서 비노 측의 반발로 진통 끝에 지난달 23일 임명된 최재성 사무총장은 임기를 한 달도 못 채운 채 물러나게 됐다.
사무총장 직제가 없어지는 대신 당 운영은 총무'조직'전략홍보'디지털소통'민생본부 등 실무형 5본부장 체제로 운영된다.
그러나 투표에 앞서 실시된 찬반토론에서 사무총장직 폐지를 둘러싼 반대 의견이 제기된 데 이어 항목별로 분리투표를 할지 아니면 일괄투표를 할지를 놓고 계파 간 이견이 노출되는 등 진통이 거듭됐다.
이번 혁신안이 통과됐지만 9월 중앙위까지 '현역 평가위원회' 등 민감한 안건들이 줄줄이 대기 중이어서 신당'분당론으로 촉발된 당의 원심력이 가속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특히 '물갈이'를 주도할 평가위 구성안을 두고는 당내 비주류의 반발이 만만찮다. 평가위 구성 권한을 문 대표가 갖고 있다는 게 주된 이유다. 최고위원제 폐지도 대표 권한강화의 일환이라는 것이 비주류의 주장이다.
김상곤 혁신위원장은 "혁신안을 통과시켜줘 감사하다. 앞으로 당 정체성과 정치개혁, 공천 문제 등 훨씬 더 복잡한 안들을 구상하고 제안하려고 한다. 국민과 당원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황수영 기자 swimmin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