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해양수산부 출입 기자단이 부산의 한 지역 언론사 기자에 대한 제명 문제를 논의했다. 제명 이유는 출입도 제대로 하지 않는 데다 해외 출장 엠바고(특정 시점까지 비보도)를 어겼다는 것이다.
일부 기자는 "특정 언론사의 독단적이고 오만한 행태는 기자단에서 제명시켜야 할 이유로 충분하다"고 주장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해당 언론사는 특별한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 출석률이 낮은 이유는 부산 본사 기자가 담당하기 때문이고, 엠바고 건은 기자단과 상관없이 별도로 해외 출장을 추진했기 때문에 지킬 필요가 없었다는 것이다.
부산 지역 언론사의 당당함은 해수부에서 차지하는 위상 때문이다. 현재 전국 해양수산 예산의 60%가 부산에 투입되고, 해수부에는 부산 출신 공직자가 대거 포진돼 있다. 해수부 입장에선 부산 언론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제명 요구가 상당했는데도 기자단에서 결국 '6개월 출입 정지'로 마무리된 점도 해수부에서 차지하는 부산의 위상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결국 이번 사태는 부산 언론과 기존 기자단과의 힘겨루기 양상으로 진행됐다. 해수부 역량의 상당 부분이 부산에 몰려 있어, 부산 언론으로서는 해수부에 '주인 의식'을 갖고 지켜 볼 수밖에 없고, 경제지를 중심으로 한 기존 출입 기자들은 부산 언론의 주인 의식을 독단적이고 오만한 태도로 받아들였다.
이번 논란의 두 주체는 아직도 화해를 하지 않은 채 대화의 채널을 닫아 놓은 상태이다.
문득 노무현 전 대통령이 추진한 취재지원선진화 시스템이 스쳐 갔다. '기자실에 죽치고 앉아 담합하고 호도하는 기자'들에 철퇴를 가하기 위해 도입된 이 시스템의 핵심은 기존 기자실을 폐쇄하고 공동 브리핑룸을 만드는 것이다. 자연스럽게 기존 출입 기자들의 역량은 줄어들고 인터넷이나 신생 언론사들의 취재 환경은 개선됐다.
당시 노 전 대통령은 "수백만 부씩 팔리는 신문에서 일방적 보도만 나온다. 일방적 사실, 일방적 의견만을 전달했다"며 이른바 조'중'동을 겨냥한 속내를 내비쳤다. '메이저'로 불리는 그 언론사들은 기자실 폐쇄를 반대하며 집단행동을 하면서 출입을 거부했다. 이때부터 지금까지 그들은 부처 출입을 제대로 하지 않고 있다. 그러다 이명박정부 들어 기자실이 슬쩍 부활하자 그들이 차지하던 기자실 부스는 다른 언론들이 차지했다.
해수부 기자실 사태는 일종의 기득권 싸움이다. 기득권을 없애기 위해 도입한 취재선진화 시스템이지만, 몇몇 큰 언론이 누리던 기득권을 다른 매체가 차지하기 위해 경쟁을 벌이는 등 주최만 바뀌어 존속되고 있는 듯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