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경찰서는 6일 고분 2기를 도굴해 문화재를 훔친 혐의로 골동품상 등 7명을 적발했다. 경찰 압수 도굴 문화재는 모두 38점이다. 이번에 도굴된 무덤은 국가사적 516호인 경산시 임당동 1호와 미지정의 압량면 부적리 4호 고분이다.
압수 유물이 금제 귀걸이와 은제 칼, 은제 관장식, 허리띠 등인 것으로 미뤄 무덤 주인공은 4~6세기 신라 주변 여러 소국처럼 경산의 지배 세력인 압독국의 후손으로 추정된다. 이들 도굴 문화재는 당시의 사회와 문화, 경제, 기술 수준 등 시대 문화를 살피고 고증할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 것이다.
그런데 이번 도굴은 매장 유물의 가치와 고분 관리의 허점을 잘 아는 전문 도굴범의 소행으로 보인다. 먼저 범행 가담자에 골동품상이 낀데다 엄연한 국가사적 고분까지 도굴 대상에 포함한 점 때문이다. 이번에 도굴 피해를 본 임당동 1호 고분은 임당동 국가사적 지구 고분 7기 가운데 가장 큰 규모이다. 게다가 1호 고분은 1982년 다른 고분의 발굴 당시에도 발굴 조사를 않고 보존해온 터였다.
임당동 고분군은 1980년대 초 도굴범이 유물을 파내 해외로 팔려다 적발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당시 임당동 2호 고분의 도굴 문화재로 금제 귀걸이와 은제 허리띠 등이 쏟아졌다. 그랬기에 이번 도굴 대상으로 1호기를 노렸을 가능성이 크다. 가장 큰 무덤인 1호 고분의 발굴 조사도 이뤄지지 않고 보존된 만큼 값나가는 귀중 문화재 매장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범행이 지난해 1, 2월에 이뤄진 점에 미뤄 고분 관리의 문제도 드러난 셈이다.
이번 도굴 문화재는 암시장을 통한 국내외 거래가 이뤄지기 전에 압수돼 다행이다. 하지만 이런 범죄는 언제든지 재발 여지가 많다. 문화재 도굴과 거래 범죄는 일제 잔재이다. 일본인은 일제강점기 때 매장문화재의 대규모 도굴과 밀반출로 큰돈을 벌었다. 지금도 문화재 반환 갈등을 겪는 이유다.
매장 문화재는 숱한 외침과 전란 등으로 불타 없어진 우리 역사 기록과 유적을 대신하는 산 증언과 다름없다. 이 때문에 문화재 거래와 관련한 법과 제도 개선과 도굴범은 물론 이를 사고파는 모든 관련자를 엄벌해야 한다. 도굴과 문화재의 밀거래는 역사와 인류 자산의 파괴 행위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