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연구소 개소·포럼 개최…총선 예비주자 "알릴 것 이름뿐"

선거법 제약에 선거운동 못해 "현역의원 비해 불공정한 경쟁"

내년 4'13 총선 출마를 준비 중인 대구경북 예비주자들이 책임당원 모집경쟁으로 총선 준비 1라운드를 치른 데 이어 선거진영을 갖추며 총선 준비 2라운드에 속속 돌입하고 있다.

대부분의 예비주자들은 내년 2, 3월로 예상되는 경선을 위한 책임당원 모집을 지난 7, 8월에 집중적으로 하고 9월 말쯤 마무리했다. 경선 시 투표권을 얻기 위해서는 경선 시행 6개월 전 가입한 책임당원에만 한정돼 9월 이후 가입자는 경선 참여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예비주자들은 공천룰 발표 등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목 좋은 곳에 사무실을 마련하고 선거인력을 모집하는 등 본격 선거운동에 앞선 사전준비를 진행하고 있다. 양명모 전 대구시의원은 최근 '대구시청유치 포럼'을 창립하고 창립 세미나를 성황리에 열었고, 정태옥 전 대구시 행정부시장은 최근 북갑 선거구에 임시 사무실을 얻었다.

박영석 전 대구MBC 사장은 지난 7월 달서갑 선거구인 달서구 용산동에 '대구미래연구소'를 열고 세미나를 활발하게 개최하고 있다. 안국중 전 대구시 경제통상국장도 지난달 달서갑 선거구인 달서구 용산동에 '달서경제문화연구소'를 열었다.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은 지난 1월 달서을 선거구인 진천동에 '달구벌문화연구소'를 열고 일찌감치 이름 알리기에 나서고 있다. 예비주자들이 각종 연구소를 개소하거나, 포럼과 세미나를 개최하는 것은 선거법 제약으로 공식적인 선거운동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 예비주자들이 요즘 공개적으로 할 수 있는 정치행위는 가을철 늘어난 각종 체육대회 행사장을 찾아 스킨십을 늘리는 것이 전부다. 하지만 체육대회 장소를 찾아가더라도 불특정 다수에게 명함을 배포하거나 출마를 언급해서는 안 되는 등 제약이 많다.

설상가상으로 뒤늦게 선거전에 뛰어든 정치 신인들은 선거법 제약이 많은 상황에서 선거전략을 구체적으로 세우지 못하고 속앓이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구에서 출마를 준비 중인 한 예비주자는 "공천룰이라도 정해지면 그에 맞는 맞춤형 선거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데, 지금으로서는 무작정 사람들이 모이는 행사장을 찾아가 얼굴을 알리는 수밖에 없다"면서 "현역 국회의원들과 비교하면 너무나 불공정한 경쟁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박창달 전 국회의원은 "선거법 제약으로 인해 예비후보들은 현역 의원과 비교하면 '손발을 묶고 달리기'를 하는 셈"이라면서 "새누리당은 출마 예정자들의 적법한 선거운동 보장을 위해 당협위원장의 조속한 사퇴와 예비후보자의 조속한 등록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