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700∼800명 옮긴다" 발표…"상의 없이" 반발… "결정된 것 없다"

대구시청 별관, 도청 이전 혼선

경상북도는 내년 2월 대구 산격동 도청을 떠나지만 상당기간 이전터에 대한 소유권을 갖고 협약을 통해 대구시에 무상임대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대구 북구 산격동 도청사. 매일신문DB
경상북도는 내년 2월 대구 산격동 도청을 떠나지만 상당기간 이전터에 대한 소유권을 갖고 협약을 통해 대구시에 무상임대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은 대구 북구 산격동 도청사. 매일신문DB

경북도청 이전터로의 대구시 청사 일부 이전을 두고 혼선과 혼란이 빚어지고 있다.

13일 권은희 새누리당 의원(북구 갑)의 도청 이전터 대구시 별관 부서 이전 확정 발표(본지 10월 14일 자 5면 보도) 이후 대구시의회는 발끈하며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고, 대구시는 '아직 구체적으로 결정된 게 없다'며 모호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시의회, 이전 반대

발단은 권은희 국회의원의 대구시 이전 발표다. 권 의원은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도청 이전터 임시활용 방안의 하나로 대구시 별관 부서 이전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올해 하반기까지 경북도와 공유재산 무상 대부계약을 체결하고 내년 4월부터 이전을 추진할 예정' '대구시 별관 부서 직원 700~800명이 북구 도청 이전터로 근무지를 옮길 것'이라는 구체적인 내용도 담았다. 권 의원과 권영진 대구시장이 최근 별관 부서 도청 이전터 이전에 합의했다는 얘기도 전했다.

권 의원 발표를 접한 대구시의회는 반발하며 '도청 이전터로의 이전 불가' 입장을 나타냈다. 대구시 신청사를 유치하려는 각 기초자치단체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시청 직원의 절반 정도가 도청 이전터로 옮겨갈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완전 이전으로 흘러갈 수 있기 때문에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 시가 시의회와는 공식 상의 없이 지역 국회의원과 합의하고 특정 지역구 국회의원이 일방적으로 발표한 데 대한 섭섭함도 내포된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대구시, 결정된 바 없다지만…

상황이 이런데 정작 이전 당사자인 대구시는 합의한 적도, 구체적인 계획이 결정된 것도 없다는 어정쩡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도청 이전터로 시 일부 부서 이전을 검토하고 있는 것은 맞지만 이전 부서나 규모, 일정 등 어떤 것도 결정된 게 없다는 것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국회의원과 시장이 합의했다는 내용은 다소 와전된 것 같다. 의원 측에 합의라는 말 때문에 논란이 되고 있다는 말(유감의 뜻)을 전했다"며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추진하고 있지만 결정된 건 아직 없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아직 도청이 언제 이전할지 모르기 때문에 시도 언제 이전할 지 시기를 확정할 수가 없다"며 "사무실 등 정비'준비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도청 이전 후 최소 두 달은 지나야 입주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도청 이전터 규모 및 활용 방안

시는 도청 등이 안동'예천 신청사로 이전할 경우 도청 주변지역의 상권 침체 등 도심 공동화 현상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 이에 대한 단기 대책으로 국가의 부지매입 등 본격적인 개발 전까지 대구시 일부 부서와 산하기관 등을 임시 이전해 도청 주변지역을 활성화할 계획을 세웠다. 경북도 청사에는 시청 별관에 입주한 부서 등을 중심으로 이전하고, 도 교육청 청사에는 ICT 관련 정부출연연구기관 등을 입주시키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 경북도청 부지 내의 경북도 관련 기관은 도청(1천291명), 도의회(98명), 도교육청(395명), 도경찰청(557명), 선관위(39명) 등 5개 기관 2천380명에 이르고, 부지 면적은 49필지 142,596㎡(약 4만3천 평)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