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의료산업 발전과 동떨어진 연구개발특구"

김원구 "유치 전략 수정해야"

김원구 대구시의회 의원은 대구시가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 중인 첨단의료복합단지(이하 첨복단지)와 시너지를 극대화할 대구연구개발특구(의료 R&D지구)의 유치 전략을 전면 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시의원에 따르면 현재 대구연구개발특구는 총 34만6천㎡ 중 22만1천㎡(63.7%)가 53개 기업에 분양됐다. 현재 입주가 완료된 기업이 21곳, 공사 중인 기업이 9곳, 미입주 기업이 23곳에 이른다. 대구시에 따르면 현재 가동 중인 21개사는 총 고용인원이 531명, 매출액은 946억원밖에 되지 않는다. 기업당 평균 고용인원은 25명, 매출액은 약 45억원에 불과하다.

김 시원은 연구개발특구에 유치된 기업들을 보면 주 사업 분야가 컴프레셔, 기계제조, 전자부품, 디자인 에이전시 등으로 첨단의료산업을 이끌어 가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연구개발특구 유치 기업이 시민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연구개발특구에 대한 대구시의 역할이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김 시의원은 "대구시가 첨복단지를 조성한 목적은 의료산업 발전을 압축적으로 이뤄내기 위한 클러스터 조성의 필요성 때문인데, 대구연구개발특구에 유치된 기업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본래의 취지와 목적을 달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심각하게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어 "대구시가 첨복단지의 연구결과를 통한 생산 전초기지가 돼야 할 대구연구개발특구의 현 유치 정책의 문제점을 올바르게 직시해야 한다"면서 "대구시와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과 관련 업무 조정 등 뼈를 깎는 쇄신을 통해 시민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성과를 이뤄내야 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