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21주차인 김모(33) 씨는 아랫배에 갑작스러운 통증을 느꼈다. 조기 진통일까 불안한 마음에 산부인과 진료를 받은 김 씨는 태아의 상태가 양호하고 자궁 수축도 없다는 진단을 받고 안심했다. 하지만 "급성충수염(맹장염)이 의심되니 외과 진료를 받으라"는 주치의의 설명에 가슴이 덜컥 내려앉았다. 김 씨는 고민 끝에 수술대에 누웠고, 염증이 번지던 맹장을 떼어냈다.
임산부는 수술에 예민할 수밖에 없다. 수술로 인한 조산이나 유산 등의 가능성 탓이다. 그러나 산모 500명 중 1명은 임신 도중 복부 수술을 받는 경험을 하게 된다.
◆급성충수염이나 담낭염 많아
임산부들도 외과 수술이 필요한 질환에 걸릴 수 있다. 가장 흔한 것은 급성충수염과 담낭염, 장폐색 등이다. 특히 임신은 여성 호르몬의 분비가 줄면서 혈액 내나 담즙 내에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여 콜레스테롤성 담석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 밖에도 난소에 종양이 생기거나 난소염전(꼬이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고, 담석증이나 부신종양, 탈장, 염증성 장질환으로 인한 출혈 등 합병증이 있는 경우 임신 중이라도 수술을 받게 된다.
임산부의 수술은 자궁에 물리적인 자극이 가해지거나 마취로 인한 자극, 수술 후 복벽에 남는 통증 등으로 인해 조기 산통을 유발할 수 있다. 출산 후로 치료를 늦출 수 있는 질환이라면 굳이 전신 마취를 하면서 수술을 받을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응급질환은 중증도에 따라 조기 산통과 유산, 조산 등의 위험성을 높인다. 따라서 응급수술이 필요한 경우라면 가능한 한 빨리 수술을 받는 것이 출산과 관련한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특히 급성충수염을 방치할 경우 복막염이나 충수 주위에 농양으로 발전할 수 있고, 급성담낭염도 간기능 악화나 담도, 췌장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수술은 개복수술과 복강경수술 모두 가능하지만, 수술 후 통증이 적고 자궁에 자극을 덜 주는 복강경수술이 선호되는 추세다.
◆임신 기간보다는 중증도가 중요
과거에는 임산 14주까지는 수술로 인한 자연 유산이나 조산이 나타날 확률이 높다고 보고 임신 15~28주가 될 때까지 수술을 연기하는 것을 권장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질환의 중증도가 유산 등의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 임신 기간에 구애받지 않는 경향이 있다.
임산부의 경우 복강경수술의 장점이 적지 않다. 수술 후 통증이 적고, 장 마비가 올 확률이 낮으며 입원 기간이 단축된다. 특히 임산부의 경우 진통제를 투여하면 태아의 호흡억제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복강경수술은 상처 부위의 통증이 적고 회복기간이 빠르기 때문에 진통제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수술 상처 범위가 작기 때문에 2차 감염 등 합병증이 나타날 가능성도 상대적으로 낮다.
복부 수술로 인한 통증 때문에 숨을 크게 쉬지 못해 나타나는 무기폐(폐가 쪼그라드는 증상)나 폐렴 등의 합병증도 줄일 수 있다. 개복수술에 비해 복부 내에서 시야 확보가 쉽고 정밀한 수술이 가능해 자궁에 물리적인 충격이나 자극을 줄일 수 있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김기둥 마크원외과 원장은 "주변 조직과 유착이 심한 급성충수염의 경우 개복수술은 주변의 장 조직을 밀어가면서 수술해야 하기 때문에 자궁벽에 물리적인 힘이 가해질 수밖에 없다"면서 "복강경수술은 수술로 인한 자연유산이나 조산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도움말 김기둥 마크원외과 원장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