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Q.[국어] 예비 고1 겨울방학 기간 국어 공부 어떻게?

올해 고교 2학년 진학과 고교 입학을 앞둔 아이를 둔 학부모입니다. 이 시기에 두 아이가 국어공부를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일까요?

◇고교 교과서 수록 문학작품 모두 읽어두기를

▶권진희 멘토=해마다 이맘때쯤이면 학부모님께서 가장 많이 하시는 질문입니다. 겨울방학 기간을 활용해서 효율적이고 집중적으로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려면 학년별로 다르게 접근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학생을 가르치다 보면 중학교 때까지는 국어공부를 곧잘 했는데 막상 고등학생이 되어서 모의고사와 내신 시험을 치르니 성적이 곤두박질 치더라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그 이유는 고교 국어 시험과 중학교 시험의 성격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중학 국어는 내신시험 기간을 활용해서 집중적으로 자습서와 문제집을 위주로 개념학습과 문제풀이 위주의 공부를 하면 일정한 점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고등학교 시험은 모의고사든 내신시험이든 평소 꾸준히 국어영역의 능력을 향상시켜놓지 않으면 좋은 점수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예비 고1의 경우에는 고교 국어교과서와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문학작품을 미리 읽어두기를 권하고 싶습니다. 고교 교과서에 실려 있는 문학 전 지문을 수록해 놓은 책들이 시중에 많이 나와있습니다. 소설은 읽으면서 반드시 어휘와 줄거리를 정리해두는 것이 필요하고, 시와 수필도 작품을 분석해가며 읽는 연습을 꾸준히 해야 합니다. 이와 함께 문법도 이 기간에 집중적으로 학습해두길 권합니다. 내신시험뿐만 아니라 정기적으로 치르는 모의고사마다 10번부터 15번까지는 문법문제가 출제됩니다. 문법은 등급을 가르는 실질적인 변별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고교 문법 기본서 등을 구입해서 중학교 때 배운 문법을 바탕으로 주요 개념을 익히고 이를 문제에 적용해가면서 체계적으로 익혀두는 것이 좋겠습니다.

고2로 올라가는 학생의 경우는 복습위주의 학습을 권하고 싶습니다. 내신시험 공부를 할 때는 알았다가도 지금 보면 개념조차 가물가물하는 것들이 한둘이 아닐 것입니다. 특히 중세국어 문법은 고2 내신시험에도 거의 빠지지 않고 출제될 뿐만 아니라 모의고사에서도 출제되므로(15번 문제) 반드시 개념을 분명하게 익혀둬야 합니다. 아울러 1학년 때 배운 현대시, 현대소설, 고전문학 등도 다시 살펴보면서 2, 3학년의 문학 심화과정에 대비해야 합니다.

고 2때에는 비문학이 한층 깊이 있게 출제됩니다. 따라서 겨울방학 기간을 활용해서 매주 꾸준히 고3 수능, 평가원 기출 비문학 문제들을 풀어보면서 비문학 이해능력을 향상시켜가야 합니다. 특히 이과생들은 경제'철학지문 위주로, 문과생들은 과학'기술지문 위주로 '취약한' 비문학 문제를 풀되, 주요 개념을 시험지 빈 공간에 메모해가면서 풀어보는 연습을 꾸준히 하면 좋은 결실을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