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26일 지난해 1∼11월 혼인 건수가 26만9천600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0.6%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혼인 건수는 2011년 0.6% 줄어든 이후 2013년 1.3%, 2014년 5.4% 감소했다. 작년 11월까지의 추세가 연말까지 이어지면 연간 기준으로 4년 연속 감소세를 기록하게 된다.
혼인 건수 감소는 결혼 적령기 인구가 줄고, 취업이 어려운 청년층이 결혼을 늦추는 '만혼'(晩婚) 현상이 확산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행정자치부의 주민등록인구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기준으로 25∼39세 남성인구는 1년 전보다 1.2% 줄었다. 같은 기간 여성인구는 1.6% 감소했다.
지난해 통계청이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의 자녀 세대인 '에코 세대'(1979∼1992년생)는 둘 중 한 명(49.8%)만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하거나 해도 좋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이 늦어질수록 출산율은 떨어진다. 2013년 출생아 수는 9.9% 줄었고 2014년에도 0.2% 감소했다. 다만 지난해 1∼11월 출생아 수는 40만7천 명으로 1.1% 증가했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올해 출산율은 플러스를 나타내겠지만, 전년과 비교해 큰 폭으로 늘어나지 않아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해 1∼11월 사망자 수는 25만2천500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7% 증가했다. 이혼 건수는 9만9천400건으로 5.9% 줄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