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12일 개성공단의 가동 중단으로 한국의 지정학적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스테판 디크 무디스 부사장 겸 국가신용등급 애널리스트는 이날 "남북 관계에 수반하는 지정학적 위험은 한국 국가신용등급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하지만, 앞서 다른 사건들과 비교했을 때 현 상황이 특별히 물리적으로 달라진 면은 없다"고 강조했다. 무디스는 작년 12월 19일 한국의 신용등급을 Aa2로 한 단계 상향 조정한 바 있다. 신용등급전망은 안정적이다.
디크 부사장은 "한국의 가장 두드러진 위험은 지정학적 위험이지만, 한국 정부가 미국과의 굳건한 동맹 관계와 중국의 영향력을 바탕으로 남북 간 직접적 충돌은 피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럼에도, 단지 지정학적 위험에 대한 지각 자체만으로도 한국의 자본과 경상수지, 재정수지에 영향을 줘 국채에 대한 이자 지급을 어렵게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디크 부사장은 그러나 한국은 견고한 경제 여건 덕에 앞서 반복된 남북 간 긴장 고조 사태를 극복할 수 있었다고 평가하면서 한국은 경쟁력 있는 수출산업과 충분한 외환을 보유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은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매년 경상수지 흑자를 달성했으며, 2014년에는 경상수지 흑자가 국내총생산(GDP)의 6.3%에 달했다고 설명하면서 이 같은 완충 장치 덕에 자본 유출입의 변동성이 커지더라도 정부, 은행, 기업 부문은 다시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