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주택시장의 거래 부진 현상이 계속되는 가운데 전국 아파트의 4% 가량이 올해 들어 매매가격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114는 전국 아파트 700만8천476가구를 대상으로 시세 변동을 조사한 결과 27만2천417가구(3.9%)가 지난 5일 기준 매매가격이 지난해 12월 말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가격 변동을 보이지 않은 곳은 643만9천813가구(91.9%)였고 가격이 오른 곳은 29만6천246가구(4.2%)였다.
시도별로는 대구가 전체 41만5천488가구 가운데 12.1%인 5만266가구의 가격이 하락해 아파트값이 떨어진 가구 수 비중이 가장 컸다.
이어 경북은 26만3천871가구의 8.4%에 해당하는 2만2천161가구의 아파트값이 떨어졌다.
수도권은 서울이 127만2천423가구 중 5.8%(7만4천28가구)의 아파트값이 하락했고 경기는 204만1천308가구 중 3.1%(6만4천61가구)의 가격이 떨어졌다.
반면 부산광역시는 전체 55만261가구 중 11.5%에 이르는 6만3천483가구가 지난해 말보다 매매가격이 올랐고 떨어진 곳은 1.6%(8천953가구)에 불과했다.
올 들어 매매가격이 내려간 27만2천417가구 중 45.7%(12만4천436가구)는 전용면적 60∼85㎡였고 전용면적 60㎡미만 소형 아파트가 36.3%(9만8천990가구)를 차지해 가격이 내려간 아파트의 80% 이상이 중소형이었다.
이는 최근 중소형 아파트의 공급 쏠림이 심화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하락폭을 보면 가격이 내려간 전체 단지의 68.7%(18만7천119가구)는 1천만원 미만 떨어졌고 32.7%(8만8천957가구)는 1천만원 이상 하락했다.
3천만원 이상 비교적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인 아파트는 6천491가구다.
가격 하락폭이 큰 주요 아파트를 보면 서울 강남구 도곡동 타워팰리스1차 전용면적 164㎡의 매매평균 가격이 지난해 12월 22억원에서 이달 21억원으로 1억원 내렸다.
강남구 개포동 주공2단지 전용면적 54㎡는 11억1천만원에서 10억4천500만원으로 6천500만원 떨어졌고 서초구 반포동 주공1단지 전용면적 72㎡도 13억1천만원에서 12억4천500만원으로 6천500만원 하락했다.
부동산114 김은진 팀장은 "작년까지 승승장구하던 주택시장은 올 들어 거래량이 감소하고 상승세가 꺾이고 있다"며 "대출규제 강화에 따른 수요 부진에 공급물량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신규 원전 건설? 실현 가능성 없어" 李대통령 '100일 기자회견' 어떤 얘기 오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