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파국까지 왔어야 했나?" "유승민 의원이 빨리 결정했어야 했다."
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회가 22일 유승민 의원의 20대 총선 공천 여부에 대한 최종 논의에 돌입한 가운데 당 내부에서는 총선을 약 3주 앞두고 이런 상황이 이어지는 데 대한 책임론 공방이 벌어졌다.
지난해 7월 이른바 '국회법 파동' 당시 유 원내대표 거취 문제를 둘러싸고 "제 발로 나가라"는 압박과 "목을 쳐달라"는 반박이 '무한반복' 됐던 상황이 재연된 셈으로, 이번에는 공천 문제를 놓고 '제2의 유승민 사태'로 비화한 양상이다.
우선 유 의원과 가까운 것으로 분류되는 '유승민 사단'을 중심으로 한 비박계에서는 친박계가 주류인 최고위원회와 공천관리위가 무책임하게 상황을 키웠다고 주장했다.
한 비박계 재선 의원은 "유 의원이 당 정체성에 어긋나는 행동을 했다는 데 대한 논란이 있다면 경선을 통해 심판을 받도록 했어야 했다"면서 "상향식 공천 원칙이 담긴 당헌'당규는 무시하고 공천권을 휘두른 게 이번 사태의 근본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친박계에서는 유 의원이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지 않은 탓에 당의 내홍이 커졌다면서 지금이라도 탈당을 선언해야 한다고 압박했다. 친박 핵심 중진으로 꼽히는 홍문종 의원은 이날 "'당과 정체성이 달라서 당당하게 무소속으로 심판을 받겠다'고 말하는 게 제대로 된 리더가 되는 방법이 아닐까 생각한다"면서 "리더를 자임하는 유 의원 입장에서는 당당하지 못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공천관리위가 유 의원 문제에 대한 결론은 늦추는 데 대해 "유 의원을 최대한 예우하는 것이고, 애정의 표시"라며 "당당하게 걸어나가라고 하는 게 아니겠느냐"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李대통령 "가짜뉴스 아들 인생 망쳐... 아직 직장도 없어"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
민주 "전날 협상한 국힘과의 '3대 특검안' 최종 결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