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산 왕벚나무 세계에 알린 타케 신부 기려

4일 사제·식물학자 재조명 콘퍼런스 열려…대구대교구청 본관 뒤뜰에 후계목도 식수

4일 천주교대구대교구청 본관 뒤뜰에서 프랑스 출신 에밀 타케 신부를 기리는 콘퍼런스를 기념해 왕벚나무 식수 행사가 열렸다. 왼쪽부터 천주교제주교구 문창우 신부, 국립산림과학원 김찬수 박사, 윤순영 대구 중구청장, 천주교대구대교구 조환길 대주교, 남성현 국립산림과학원 원장, 정홍규 신부. 대구 중구청 제공
4일 천주교대구대교구청 본관 뒤뜰에서 프랑스 출신 에밀 타케 신부를 기리는 콘퍼런스를 기념해 왕벚나무 식수 행사가 열렸다. 왼쪽부터 천주교제주교구 문창우 신부, 국립산림과학원 김찬수 박사, 윤순영 대구 중구청장, 천주교대구대교구 조환길 대주교, 남성현 국립산림과학원 원장, 정홍규 신부. 대구 중구청 제공

대구에서 사목했고 식물학자로 활동하며 한국산 왕벚나무를 세계에 알린 프랑스 출신 에밀 타케(1873~1952) 신부를 기리는 콘퍼런스가 지난 4일 대구가톨릭대 신학대학에서 개최된 데 앞서, 콘퍼런스를 기념하는 왕벚나무 식수가 같은 날 오후 1시 천주교대구대교구청 본관 뒤뜰에서 열렸다.

천주교제주교구 문창우 신부, 국립산림과학원 김찬수 박사, 윤순영 대구 중구청장, 천주교대구대교구 교구장 조환길 대주교, 남성현 국립산림과학원 원장, 대구대교구 정홍규 신부(사진 왼쪽부터)가 식수에 참여했다. 식수된 왕벚나무는 에밀 타케 신부가 제주도 사목 시절 발견한 왕벚나무 자생지에서 나온 후계목이다.

한편, 이날 콘퍼런스에서는 에밀 타케 신부가 제주에서 가져와 지금의 대구대교구청 자리에 심은 왕벚나무가 현재 세계에서 유일한 제주도 자생지의 왕벚나무와 유전적으로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에밀 타케 신부의 사제 및 식물학자로서의 여정도 상세히 다뤘다. 또 대구대교구청 내 왕벚나무를 문화'과학'경관'학술적 가치가 큰 노거수로 볼 수 있는 만큼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대구의 관광 명소로 삼고, 이와 연계해 자연생태관과 식물원을 조성하는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