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과반 실패 새누리…친박·비박계 간 공천책임론 일듯

과반 의석 차지에 실패한 새누리당에 거센 공천 책임론이 휘몰아칠 것으로 보인다.

총선 참패로 여소야대(與小野大) 정국이 도래, 정국의 방향 추는 크게 기울어지게 됐고 박근혜정부 후반기 국정동력 상실도 불가피해졌다. 책임론이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다.

친박계가 칼을 휘두른 이번 공천에 대해 책임론이 불거지면 공천 과정에 불거졌던 계파 갈등 이상의 거센 폭풍이 일 것으로 전망된다.

타깃이 친박계로 향할 가능성이 높다. 당내 주도권 이양을 노리는 비박계는 공천을 주도한 친박계를 몰아세워 힘 빼기에 나설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김무성 대표를 비롯, 비박계 의원을 중심으로 공천 당시에도 "이대로 가면 선거 필패"라는 비판을 지속적으로 내비쳤다.

친박계 역시 막판 옥쇄 파동 등을 빌미로 비박계를 곱게 놔주지 않을 태세다. 공천에 반발하면서 당내 분열을 가중시켜 지지층의 외면을 일으켰다는 논리다. 공천 책임론을 둘러싸고 빚어질 총선 후유증은 조기 전당대회로 심지에 불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는 이미 총선 후 대표직 사퇴 의사를 밝혀 새누리당은 총선 뒤 본격적인 당권 투쟁이 예고돼 있는 상태다. 공천 책임론의 핵심은 진박 논란이다.

소위 '진실한 사람'을 꽂아 넣기 위해 대구경북에 자행된 현역 공천배제(컷오프), 또 유승민 의원의 공천 결과를 시간 끌기로 지연시키면서 촉발한 탈당파 무소속 바람은 그 영향권이 전국으로 확대하면서 반(反) 새누리당 기조를 확산시켰다.

비박계의 과녁은 진박 지원 유세에 전면적으로 뛰어든 최경환 의원에 향할 가능성이 크다. 최 의원은 유력한 차기 당 대표 후보로 거론된다. 상황이 여러 변수와 맞물리면 복잡해질 수 있다.

최대 '뇌관'은 무소속 의원의 복당 여부. 친박계에선 윤상현 의원, 비박계에선 유승민 의원이 대표격이다. 과반수를 넘지 못하면 우선 새누리당은 과반 의석 확보를 위해 무소속 복당을 거부할 명분이 마땅치 않다.

다만 시기를 두고 친박'비박계 간 줄다리기는 예상된다. 조기 전당대회를 가정하면 친박계로선 비박계가 다수인 무소속 당선자를 조기에 복당시킬 이유가 없다. 역으로 비박계로선 최대한 빨리 복귀시키는 게 전당대회에서 유리할 수 있다. 조기 복당이 이뤄질 경우 이를 계기로 균열이 인 친박'비박계의 이탈자 간 합종연횡 등으로 새로운 세력의 힘이 모여 새로운 형태의 계파가 탄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