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4·13 대구는 변화를 택했다] <1>새누리는 각성해야

총선서 경고 날린 유권자 "막장 공천 관련 사과부터 해야 TK 변화 이끌 정책·인물 고민을"

'대구경북 시도민의 뜻을 겸허하게 받아들이겠습니다.' 14일 오후 새누리당 대구시당과 경북도당에서 열린 '20대 국회의원선거 새누리당 선거대책위원회 해단식'에서 최경환 대구경북 총괄선대위원장을 비롯한 당선자와 낙선자들이 시민들을 향해 고개 숙여 인사를 하고,(위) 이어 열린 경북선대위 해단식에선 당선자들이 도민들의 뜻을 잘 받들겠다는 각오로 큰절을 하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msnet.co.kr

대구시민들은 4'13 총선에서 새누리당에 매서운 회초리를 들었다. 변함없이 새누리당을 지지했던 대구 유권자들이 전체 12석 중 4석을 무소속과 야당 후보에게 내주며 준엄한 '경고장'을 내민 것이다. 전국적으로도 집권 여당이 원내 1당을 야당에 내주는 충격적인 성적표를 받았다. 회초리를 넘어 '멍석말이'를 당했다는 얘기까지 나온다. 일각에서는 민심을 무시하고 외면한 응분의 대가로 '선거 탄핵'을 당했다는 평가까지 내놓고 있다.

정치 지형 변화를 바란 대구시민들의 선택은 변화의 열망을 분출한 것이다. 정치권, 특히 새누리당에 통렬한 반성과 함께 변화와 혁신, 대구경북 발전을 위한 혼신의 노력, '자기 밥그릇' 챙기기가 아닌 시도민을 위한 정치를 요구하고 있다.

새누리당 안팎에서는 당장 차기 대선 위기론이 불거지고 있다. 새누리당이 정권을 잡기 위해서는 대구경북의 절대적인 지지가 필수다.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대선에서 당선된 데는 대구경북에서 80%가 넘는 지지율을 보낸 것이 한몫했다. 하지만 이번 총선 대구의 성적표와 여당의 국정 운영 행태를 보면 차기 대선에서 새누리당 후보가 이 같은 지지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새누리당이 정권 재창출을 하기 위해서는 대구경북의 민심을 다시 끌어안아야 하는 절체절명의 숙제가 남았다. 이번 총선에서 대구 민심은 새누리당의 변화를 강력히 열망했다.

새누리당이 대구 유권자들의 '경고'를 엄중히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미래를 기대하기 어렵다.

우선 유권자들은 막장 공천에 분노했다. 이번 공천 과정에서 대구 유권자를 장기판의 '졸'로 보는 새누리당의 민낯이 그대로 드러났다. 민심을 무시한 공천, 기준 없는 현역의원 컷오프, 입바른 소리를 한다고 '배신자'로 낙인찍어 내쫓는 정치 행태를 바꾸지 않는다면 회초리를 넘어 채찍이 날아간다는 점을 정치권은 되새겨야 한다.

정치학자들은 새누리당의 변화와 혁신은 막장 행태를 인정하고 사과하는 데서부터 출발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장우영 대구가톨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막장 공천을 주도하고 연출한 인사들이 시민들에게 사과해야 한다. 또 구체적인 잘못을 바로잡아야 한다. 그래야 시민들이 진정성 있는 사과로 받아들일 것"이라며 "유승민 당선자의 조건 없는 복당도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새누리당을 바라보는 유권자들의 시각도 바뀌고 있다. 과거 다소 잘못이 있더라도 '우리가 남이가'로 어물쩍 넘어갔지만 이번에는 외면했다. 유권자들은 비상식, 비합리, 불공정 경쟁 등 새누리당의 행태를 강하게 거부했다. 장 교수는 "이번 총선은 역대 총선 중 대구 유권자들이 가장 잘 쓴 드라마였다"면서 "새누리당에 상식과 합리성, 공정한 경쟁을 요구하는 등 유권자의 질적인 변화가 시작됐다. 또 이념적 수용성도 넓어졌다"고 평가했다.

하세헌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대구 유권자들이 지역주의를 깨는 열린 마음을 갖게 됐고, 지역 내 정치적 경쟁을 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과거 불만이 있어도 표현할 수 없었지만 이제는 달라지게 될 것"이라고 했다.

정치권 관계자들은 대구에서 새누리당이 지지율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오직 시민만을 바라보고, 무서워하는 진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하 교수는 "새누리당이 대구를 텃밭으로만 보는 교만한 마음이 있었다. 대선을 앞두고 정책과 인물 선택에서 진심을 가지고 대구경북에 공을 들여야 한다"며 "결국 국민의 눈높이 정치로 돌아와야 한다"고 했다.

또 다른 정치권 인사는 "결국은 경제다. 박근혜 대통령 3년 동안 대구시민들이 경제적으로 더 나아졌다는 생각을 하지 못한다"며 "이런 불만을 완화시키려는 특단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