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일제의 문화재 탐욕, 경주서 다시 본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수집품 경주박물관 26일부터 전시

오구라 다케노스케가 일본으로 반출하려던 백자청화호문대발. 가시이 겐타로가 일본으로 반출하려던 아미타여래설법도.이치다 지로의 수집품인 분청사기 청자완.(왼쪽부터)
오구라 다케노스케가 일본으로 반출하려던 백자청화호문대발. 가시이 겐타로가 일본으로 반출하려던 아미타여래설법도.이치다 지로의 수집품인 분청사기 청자완.(왼쪽부터)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들이 가져간 문화재를 전시하는 행사가 열린다.

국립경주박물관이 26일부터 오는 6월 19일까지 진행하는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수집품' 특별전이 그것. 경주박물관 소장품 중엔 일제강점기(1910~1945) 일본인들이 수집한 한국'중국'일본 문화재 1천302건, 2천653점(금속 519점, 도토제 1천236점, 서화 695점, 기타 203점)이 있다. 일본인들이 모은 문화재는 광복 직후 일본으로 불법 반출시키지 못하고 박물관으로 입수됐으며, 일부는 1963년 비밀 창고가 발견되면서 박물관으로 옮겨진 뒤 접수품으로 등록 관리되고 있다.

특별전에서는 광복 후 오구라 다케노스케 등 일본인 3명으로부터 접수해 국립경주박물관에 입수된 도자 574점이 관람객들을 찾아간다. 대구의 사업가였던 오구라 다케노스케 외에 대구에서 병원을 운영한 이치다 지로, 부산의 자본가 가시이 겐타로가 수집한 문화재들이다.

우리나라의 고려청자 조선백자 분청사기 청화백자와 중국 서진시대 청자, 북송시대 월주요 청자, 주요 백자 및 일본에서 20세기 초 유행한 이마리 도자, 라쿠양식 도자 등 103점도 전시된다. 또 서화 15점과 일본인이 수집한 중국 청동용기 53점이 소개된다.

이런 가운데 박물관은 이번 전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일본 책 '고고학 관계자료 모형도보'(考古學關係資料模型圖譜, 1931년)와 '고고학 관계자료 모형목록'(考古學關係資料模型目錄 1930년)의 존재를 확인했다. 일본인들이 학술적'상업적 목적으로 복제품 유물을 만들었다는 기록으로 모형도보는 유물사진과 설명을 적은 일종의 도록이고, 모형목록은 복제품 목록과 각각의 가격이 표시됐다.

이번 전시에서는 고고학 관계자료 모형도보 실물을 공개하며, 경주 입실리 출토 진품 청동기와 일본인들이 만든 복제품을 비교 전시한다.

김유식 학예연구실장은 "이번 특별전은 광복 이후 국외 반출 위기에 직면했던 우리 문화재를 포함한 국외 문화재를 우선으로 공개하는 자리"라며 "일본인이 수집했던 접수품에 대한 기초조사 결과를 적극적으로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