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세계 일주 도전 태양광 비행기, 태평양 횡단 성공

태양광 전지로 얻은 동력으로 세계 일주 비행에 도전 중인 비행기 '솔라 임펄스 2'가 태평양의 하와이를 이륙, 56시간 동안 밤낮으로 쉬지 않고 날아 23일 저녁(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인근 비행장에 안착했다. 솔라 임펄스 2는 샌프란시스코 금문교 상공을 지나 남쪽으로 더 날아가 바람이 잦아들기를 기다린 다음 팔로알토 인근 마운틴뷰의 모페트 비행장에 착륙했다.

이번에 성공한 하와이~샌프란시스코 구간은 전체 세계 일주의 9번째로 거리는 4천200㎞에 이른다. 솔라 임펄스 2는 앞서 지난해 6월 30일 일본 나고야(名古屋)를 이륙, 8천924㎞를 117시간 동안 날아 하와이 호놀룰루 외곽 칼데루아 공항에 착륙해 최장 시간 논스톱비행 기록을 세웠다. 그러나 과열로 손상된 배터리를 수리하고 조종 지원 시스템을 개선하는 등 약 9개월간 정비를 받았다.

태평양 횡단은 비상 착륙할 지점이 없어 전체 일정 중 가장 어려운 구간으로 꼽혔지만 이날 솔라 임펄스 2는 샌프란시스코에 안착함으로써 세계 일주 성공 가능성을 높였다.

길이가 4m인 프로펠러를 엔진 4개에 단 이 비행기는 최적 속도가 시속 45㎞이지만 해가 강한 낮 시간대는 속도를 90㎞까지로 높일 수 있다.

가벼운 탄소 섬유로 만든 이 비행기는 무게가 2.3t으로 중간급 트럭 정도이며, 모두 1만7천 개의 태양광 전지 셀을 단 날개 길이는 72m로 보잉 747 항공기(68.5m)보다 3.5m 더 길다.

이 태양열 전지가 전기를 축전한 덕분에 햇빛이 없는 밤에도 비행할 수 있다.

남은 구간은 아메리카대륙을 가로지르고, 대서양을 건넌 다음 출발지였던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까지다.

솔라 임펄스 2 프로젝트는 재생에너지와 혁신의 중요성을 환기하려는 목적으로 2002년 시작돼 그간 1억달러(1천123억원) 이상이 투입됐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