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청 이전터 개발… 로드맵, 길을 잃다

10여 개 넘는 개발안 갈팡질팡…대구시 "올 연말 지나야 공론화"

대구 중심의 마지막 남은 '노른자위' 땅인 경북도청 이전터(산격동) 개발 방안이 또 다른 지역 사회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다.

뚜렷한 개발 계획이 없는 상황에서 대구 시청사를 비롯해 창조경제 기지, 법원'검찰청사 이전 등 10여 개가 넘는 개발 방안이 터져 나오면서 이를 둘러싼 지역 및 업종 간 의견과 요구가 엇갈리고 있는 탓이다.

현재까지 거론된 도청 이전터 개발 방안은 ▷자연사박물관 ▷세계사테마파크 ▷창조경제 전진기지 ▷행정타운 ▷공연콤플렉스 문화타운 ▷한국문학관 등 10여 개에 이른다. 최근 들어서는 대구 시청사 이전설에 이어 주변 주민들이 청와대 등 관계 기관에 법원'검찰 청사 이전 청원서를 제출하며 본격적인 유치전에 나서면서 '백가쟁명'식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하지만 도청 이전터 활용방안은 관계법상 명확한 개발 주체가 없어 개발 방안 수립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부지 소유주는 경상북도고 개발 주체가 돼야 하는 대구시는 부지에 대한 소유권이나 개발 권한이 없기 때문이다.

지난 3월 도청이전특별법 개정안 통과 후속 조치로 연계 법안인 '국유재산특례제한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도청 이전터 활용을 위해 진행 중인 '충남도청 및 경북도청 활용 방안 연구용역' 결과가 나와야 도청 이전터 개발 논의를 공론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구시와 지역 정치권이 도청 이전터 개발을 두고 신중한 접근 자세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달 대구 시청사 이전설이 나오면서 중구 주민들이 반대 움직임을 보이는 등 지역 간 갈등 조짐이 일고 있고 도청 이전 주민들은 법조타운 개발 청원에 들어가는 등 '연쇄 부작용'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법원'검찰 유치 대책위는 "도청 이전 후 주민들은 심한 박탈감과 개발 방향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며 "대구시가 도청 이전터 활용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밝히지 않아 주민들이 직접 나서서 법원, 검찰청 이전을 요구하게 됐다"고 밝혔다.

대구시 관계자는 "도청 이전터 개발 요구가 많아 혼란스러운 상황이지만 관련법이 통과되고 12월 정부 개발 용역 안이 발표된 후 시가 도청 이전터 개발 논의를 공식화할 수 있다"며 "올 연말이 지나야 시청사 문제를 포함해 도청 이전터 개발 방안을 공론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