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9일 안동'예천 도청 신도시에 경북 대표 도서관 건립 추진 계획을 밝혔다. 도청 신도시 문화시설 3지구 내 연면적 8천707㎡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4층 규모로 348억8천만원을 투입해 오는 2018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러나 경북도의 이 같은 계획과 관련, 벌써 경북도의회 일각에서 문제를 제기하고, 접근성과 효율성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나와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경북도의 이런 도서관 건립 추진은 오는 2027년 기준 10만 명의 주민이 살아갈 신도시를 염두에 둔 일임이 틀림없다. 도서관 완공 후 10년 뒤 미래를 내다보고 추진하겠다는 원대한 계획에서다. 그런 만큼 120만 권 장서 보존 서고 등 기본적인 도서관 기능에다 첨단 기술을 적용하고 복합 문화 공간 기능까지 갖추는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경북도 측이 "도청 신도시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할 것"이라 장담하는 까닭도 바로 여기에 있다. 한마디로 명실상부한 경북의 얼굴 격인 대표 도서관으로 만들겠다는 속내이다.
경북도의 큰 속뜻은 그 나름 이해할 수 있다. 그렇지만 여전한 논란거리를 제쳐 둘 수는 없다. 이미 주변 예천과 안동에만도 5곳의 공공도서관이 있다. 경북도 전체 공공도서관은 모두 62곳으로 서울과 경기도 다음으로 많다. 기존 인근 시설의 적극적인 활용 대신 350억짜리 도서관을 또 짓는 데 대해 효율성을 문제 삼는 이유다. 게다가 상주하는 도청 직원과 일부 신도청 방문객 외는 접근성마저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적은 이용객으로 적정 수요를 채우지 못할 우려도 있다. 건립에 앞서 사전 수요 조사가 이뤄져야 할 부분이다.
따라서 도서관 건립은 굳이 서둘러야 할 필요성이 크지 않은 사업임이 분명하다. 효율성과 접근성 같은 소홀히 할 수 없는 논란거리부터 짚어봐야 함이 마땅하다. 물론 경북도로서는 텅 빈 현재 신도시에 다양한 관련 인프라를 갖춰 하루빨리 10만 명 자족 도시로 만들겠다는 의도는 당연하다. 인구를 끌어들일 각종 시설이 많을수록 신도시 정주 여건은 나아질 것이 분명해서다. 그렇더라도 무턱대고 짓는 일이 능사는 아니다. 자칫 문제를 더 나쁘게 할 뿐이다. 보다 신중한 도서관 건립 추진이 필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