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자녀 57%만이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을 하고 있으며, 월평균 지출액은 34만8천원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친부모 혹은 배우자의 부모 중 1명 이상 생존해 있다는 응답자 중 56.7%만이 최근 1년간 부모를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경제적 부양을 하고 있는 비중이 컸지만, 부양 비용은 젊은 층이 상대적으로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가운데 한명 이상이 생존해 있는 경우 20대의 18.3%, 30대의 52.8%, 40대의 71.1%, 50대의 79.3%, 60대의 71.0% 등이 각각 경제적으로 부양하고 있었다.
또 전 연령대의 월평균 부양비용은 34만8000원인 가운데 20대 부양 비용이 43만5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40만3천원, 40대 34만1천원, 50대 32만8천원, 60대 15만원 등으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줄어들었다.
자녀별 부양 비용은 장남 47만6천원, 차남 이하 33만9천원, 장녀 28만7천원, 차녀 이하 26만6천원으로, 아들이 딸보다는 부담하는 금액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양 비용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평균 9.7%였으며 '5% 이하'인 경우가 48.7%로 절반에 가까웠다.
부양 비용에 대해 55.8%는 '그런대로 감당할만하다', 19.6%는 '전혀 부담되지 않는다'고 답했지만, 24.6%는 '가계에 부담을 느낀다'고 생각했다. 부모를 부양하고 있는 사람의 48.4%는 '부양 비용의 부담'이 부양하는데 가장 어려운 점이라고 말했다.
그 외에 부양에 따른 애로점으로는'부모를 자주 찾아뵙고 가사를 돌봐드려야 하는 부담'(18.2%), '부양으로 인한 직장 및 사회생활 제약'(8.6%), '부양으로 인한 형제 자매간 갈등'(8.1%) 등을 꼽았다.
보고서는 "부양의 형태와 비용, 어려움은 부양자와 피부양자의 인구사회·경제적 요인에 의해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며 "공적 부양시스템을 확충하되 수요자가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