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권 도전 가능성을 강력히 시사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총장 임기 중 방북 가능성을 내비침에 따라 대북 행보로 다른 대권주자와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반 총장은 26일 제주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주포럼 개막식 기조연설에서 "우리는 (북한과의) 대화를 향한 길을 다시 찾아야 할 것"이라면서 "저는 북한에 더 이상 도발을 중단하고 국제적 의무를 준수하는 방향으로 돌아올 것을 촉구하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한반도에서 갈등이 고조되면 동북아, 그 너머 지역까지 어둠의 그림자가 깔릴 수 있다"면서 "저는 유엔 사무총장으로서, 개인적으로도 어떤 방식으로든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기여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반 총장은 전날 제주 롯데호텔에서 열린 관훈클럽 간담회에서도 "작년에 (북한에) 갈 기회가 상당히 무르익었는데 이루지 못했다"며 "그럼에도 계속 고위급 (대북) 대화채널을 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작년 5월 개성을 방문할 예정이었으나 북한의 갑작스러운 태도 변화로 무산됐고, 12월에도 방북을 추진했으나 성사되지 못했다.
반 총장은 "남북 간 대화채널을 유지해온 것은 제가 유일한 게 아닌가 생각하고 기회가 되면 계속 노력하겠다"고 밝혀 방북 재추진에 대한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남북문제는 숙명"이라며 "대북 압박을 계속 해나가는 과정에서도 인도적 문제를 통해 물꼬를 터 가며 대화하고 긴장을 완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혀 자신의 방북이 성사되면 '한반도 평화 메신저' 역할을 하게 될 것임을 시사했다.
정치권에선 반 총장이 새누리당과 차별되는 야권의 대북화해정책을 지지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반 총장이 방북해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과 면담을 하게 되면 단절된 남북 대화의 물꼬가 터질 가능성도 있다. 이렇게 되면 한반도 평화 메신저로서 반 총장의 이미지가 각인되고, 대권 주자로서의 위상도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반 총장이 이명박'박근혜정부를 통해 견지해 온 대북 강경노선에 이의를 제기하고 김대중'노무현정부가 추진해 온 대북 화해정책을 선택한 점에 주목한다"며 "여야를 넘나들기 위한 사전포석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이와 함께 반 총장이 그동안 새마을운동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여 온 점을 고려하면 근대화세력(새마을운동)과 통일지향(화해정책) 세력에게 동시에 러브콜을 보냄으로써 지지층을 확장하고자 하는 의중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새누리당 관계자는 "당장 논란이 뜨거워질 수 있는 경제 관련 견해 발표는 뒤로 미루면서 지지층이 굳건한 이념영역에서 양수겸장을 시도하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