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국회 임기가 시작됐지만 원(院) 구성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어 법정 시한 내에 원 구성이 될지 불투명해지고 있다. 국회법에 따르면 오는 7일까지 국회의장단 인선, 9일까지 상임위원장 인선을 각각 끝내야 한다. 여야 3당 원내대표는 이 기한을 준수하기로 합의했었다. 하지만 국회의장과 법제사법'운영'예산결산특위 등 이른바 '알짜' 상임위를 둘러싼 여야의 셈법이 서로 달라 협상은 지지부진이다.
새누리당은 원내 1당인 더불어민주당에 국회의장직을 넘겨준다는 방침이었으나 당내 반발에 부딪혀 국회의장은 고수한다는 방침으로 돌아섰다. 또 국민의당은 국회의장과 법사위원장은 1, 2당이 나눠 가져야 한다던 입장에서 두 자리 모두 야당 몫이라고 태도를 바꿨다. 이런 가운데 더민주와 국민의당이 국회의장단 선출을 기존의 추대가 아닌 의원 자율투표에 부친다는 방침을 들고나와 새누리당이 반발하고 있다. 의석 분포상 자율투표로 새누리당이 국회의장직을 차지할 가능성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여야는 이런 의견 대립을 신속히 조율해 법정 기한 내에 원 구성이 되도록 해야 한다. 국회의장과 알짜 상임위원장을 둘러싼 여야의 다툼은 국민의 눈에 자기 이익만 앞세운 '정치놀음'으로 비칠 뿐이다. 4'13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은 여야가 모든 문제를 대화와 타협으로 풀어가라는 것이었다. 여당은 원내 2당으로 내려앉은 만큼 '집권당 프리미엄'을 고집해서는 안 된다. 야당도 머릿수를 앞세워 일방적으로 밀어붙여서는 곤란하다.
원 구성이 늦어지면 국회의 정상 가동도 그만큼 늦어진다. 이는 국민 전체에 엄청난 피해를 낳는다. 발등의 불인 기업 구조조정은 물론 산적한 민생 현안의 조속한 해결도 실기(失機)할 수 있다. 여야는 20대 국회를 '일하는 국회'로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그 다짐을 실천하는 첫 걸음은 원 구성 협상의 조기 타결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