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홍대 일베 조각상 논란…"표현의 자유" vs "공공에 대한 모독" 누리꾼 시끌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1일 오전 서울 마포구 홍익대 정문에 세워진 일베 조각상이 부서져 있다. 연합뉴스
1일 오전 서울 마포구 홍익대 정문에 세워진 일베 조각상이 부서져 있다. 연합뉴스

서울 상수동 홍익대학교 정문에 세워졌던 '일간베스트저장소(이하 일베)'를 상징하는 손가락 조각물이 논란 이틀만에 부서졌다.

일베 상징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일베를 옹호하는 것 아니냐며 거센 논란이 불거졌던 이 작품은 설치 직후부토 일부 학생과 시민들은 조각물에 계란과 음료수 등을 투척했고, 욕설과 비난이 담긴 쪽지가 나붙더니 결국 이틀만에 밤새 조각물이 파손된 것이다.

서울 마포경찰서는 이 조형물을 훼손한 김모(20) 씨 등 3명을 재물손괴 혐의로 불구속 입건해 조사 중이다.

조각물이 부서진 현장에는 '예술과 표현의 자유는 절대적 권리가 아니다'라는 내용의 메모가 남겨져 있었다.

붙잡힌 3명 중 한 명은 케이블채널 프로그램 '쇼미더머니 5'에 출연했던 '래퍼성큰'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30일 설치된 손가락 모양의 조각상은 이 학교 조소과 홍기하(22)씨가 연례 전시 일환으로 제작한 것이다. 작품명은 '어디에나 있고, 아무데도 없다'이다. 홍씨는 "사회에 만연하게 존재하지만 실체가 없는 일베라는 것을 실체로 보여줌으로써 이것에 대한 논란과 논쟁을 벌이고자 한다"고 작품의 창작 의도에 대해 설명했다.

학교 측도 논란을 예견했다면서 예술작품으로 봐달라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런 설명에도 불구하고 작품을 바라보는 시민들의 반응은 크게 엇갈렸다.

극우 성향의 인터넷 커뮤니티 '일베'는 그동안 사회적 약자 비하와 혐오 논란 등 폭력적이고 비윤리적인 모습들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온 집단이기 때문이다.

조각물을 훼손한 이들은 "정확한 설명도 없이 일베 상징물을 홍익대 정문에 설치해 많은 사람에게 혐오감을 줬다"며 "표현의 자유를 빌미로 6월 내내 그 작품을 전시하는 것은 무책임한 태도라고 생각했다"고 경찰에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익대 학생회 측 역시 "조각물이 놓인 장소가 홍익대학교 학생들이라는 특정 집단을 대표하는 공간인 만큼 전시장소에 대해서는 신중하게 고려해야 했고 분명히 밝힐 필요가 있다"며 작가와 담당교수의 책임을 촉구하고 있다.

논란이 됐던 조각물이 훼손된 소식이 전해지자 누리꾼들의 갑론을박도 뜨거워졌다.

예술 작품을 일정한 잣대로 평가할 수 없다는 의견과 '일베' 조형물 설치로 피해를 볼 홍익대 구성원의 입장을 고려했어야 한다는 의견이 맞섰다.

한 누리꾼은 "논란과 논쟁이 벌어지게 하는 것이 의도였다면 조각상이 부서지는 사건으로 그 의도는 충분히 이뤄진 것 같다"고 꼬집기도 했다.

진중권 교수도 이런 논란에 가세했다.

그는 자신의 SNS를 통해 "작가의 의도와 상관없이 작품에 '일베 옹호'라는 딱지를 붙이며 해석적 폭력에 물리력까지"라면서 "남의 표현의 자유를 폭력으로 짓밟아도 된다고 믿는 자들이야말로 민주주의 적들"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이어 진 교수는 "미적 평가로 끝낼 일을 도덕적 단죄에 사법적 처벌까지 들어가야 성이 차니.."라면서 "저 작품을 만드는 작가보다 오히려 저 작품에 계란 던지고 파괴한 사람들이야말로 이 사회의 기본질서 위협하는 세력"이라고 의견을 피력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