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내 연구진이 경주시에서 발굴된 신라 시대의 여성 유골을 토대로 최첨단 컴퓨터 기법을 활용해 당시 얼굴 모습을 복원하는데 데 성공했다. 서울대 의대 법의학연구소는 연세대, 이화여대, 성균관대, 신라문화유산연구원 등과 공동으로 작업한 결과, 국내 최초로 이 같은 성과를 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국 공공과학 도서관이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2013년 경주시 도로공사 중 발견된 유골을 이용해 신라 시대 당시 사람의 체질, 얼굴 생김새, 식생활, 유전자 등 신체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머리뼈 및 얼굴 복원, DNA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발견된 뼈의 주인공은 30대 후반 여성으로 사망할 당시의 키는 155±5㎝일 것으로 추정됐다. 머리뼈가 부서진 채 발굴됐기 때문에 뼛조각의 복원을 먼저 시행했고, 컴퓨터 단층촬영(CT)을 이용해 3차원 스캔 작업을 진행했다. 이어 3차원 컴퓨터 디지털 모델제작 프로그램을 통해 여성이 살아있을 당시 얼굴을 최종적으로 복원했다.
그 결과, 신라 시대 여성의 얼굴은 현대 여성보다 전체적인 머리뼈가 앞뒤로 길고, 좌우로는 좁고, 위아래로는 짧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 이마는 뒤로 많이 경사진 형태였고, 얼굴 뼈 윗부분은 현대 여성에 비해 좁은 것으로 분석됐다. 전반적인 얼굴 모양은 갸름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