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도입 이후 모바일 상품권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지난 5년 동안 320억원어치가 넘는 모바일 상품권이 이용기한이 지나도 소비자에게 환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소비자연대 ICT소비자정책연구원이 미래창조과학부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1년 615억원이었던 모바일 상품권 매출 규모는 2015년 5천507억원으로 커졌다. 이 기간 이용기한이 지난 전체 모바일 상품권은 719억원이었는데, 이 중 45%인 322억원이 환급되지 않았다. 모바일 상품권은 이용기한이 지나도 5년 이내에 환급받을 수 있고 이후엔 자동 소멸한다.
2015년 기준 업체별 환급률을 보면 SPC클라우드가 11.58%로 가장 저조했고, CJ E&M 18.18%, 원큐브마케팅 18.77%, SK플래닛 19.47%, KT엠하우스 25.79%였다. 반면, 자체 환급 시스템을 구축한 카카오는 환급률이 88.52%에 육박했다. 카카오는 2014년 7월 모바일 상품권 직접 영업을 시작하면서 이용자가 개인 계좌번호를 통해 환급받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