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도입 이후 모바일 상품권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지난 5년 동안 320억원어치가 넘는 모바일 상품권이 이용기한이 지나도 소비자에게 환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녹색소비자연대 ICT소비자정책연구원이 미래창조과학부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11년 615억원이었던 모바일 상품권 매출 규모는 2015년 5천507억원으로 커졌다. 이 기간 이용기한이 지난 전체 모바일 상품권은 719억원이었는데, 이 중 45%인 322억원이 환급되지 않았다. 모바일 상품권은 이용기한이 지나도 5년 이내에 환급받을 수 있고 이후엔 자동 소멸한다.
2015년 기준 업체별 환급률을 보면 SPC클라우드가 11.58%로 가장 저조했고, CJ E&M 18.18%, 원큐브마케팅 18.77%, SK플래닛 19.47%, KT엠하우스 25.79%였다. 반면, 자체 환급 시스템을 구축한 카카오는 환급률이 88.52%에 육박했다. 카카오는 2014년 7월 모바일 상품권 직접 영업을 시작하면서 이용자가 개인 계좌번호를 통해 환급받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