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어린이집 '집단 휴원' 현실화 되나

맞춤형 보육제도 예산 절감 반발…24일 정부 대책 관련 초강수 카드

7월 시행을 앞둔 맞춤형 보육제도에 어린이집이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집단휴원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어 '보육대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다음 달부터 맞춤형 보육제도가 시행되면 만 2세 이하 영아가 있는 가정 중 맞벌이'다자녀'저소득층 등이나 임신'장애 등 사유가 있는 가정만이 종일반(오전 7시 반~오후 7시 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나머지는 맞춤반(오전 9시~오후 3시)으로 편성된다.

문제는 아이들의 하원을 이중으로 시켜야 하는 등 업무는 늘어나지만 맞춤반의 지원금은 종일반의 80%라 어린이집 운영 예산이 줄어든다는 것.

이 때문에 지난 8일 대구어린이집연합회는 '맞춤형 보육사업 제도개선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제도 시행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연합회는 "해당 사업에 대해 꾸준히 반대해왔지만 어린이집의 목소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5월 중순에 갑작스레 시행을 통보받았다"며 "대비 없이 지원금만 줄어들게 되면 보육의 질이 떨어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고 주장했다.

지역 어린이집의 의견을 듣기 위해 찾은 정태옥 새누리당 국회의원도 "이번 정책은 정부가 확실히 일방적으로 추진한 느낌이 든다"고 했다.

하지만 정부가 TV 광고 등을 통해 맞춤형 보육강행을 대대적으로 홍보하면서 어린이집들은 조심스레 '집단 휴원' 카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 조미경 대구어린이집연합회 사무국장은 "최소한 제도 도입 연기라도 해달라 하소연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최악의 경우 집단휴원까지 선택할지도 모른다"고 했다.

지역 어린이집들은 24일로 예고된 보건복지부의 맞춤형 보육제도 향후 계획을 들은 뒤 단체 행동에 나설 예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