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K2 이전·대구공항 확장…대구가 지켜내야 할 '자존심'

부산 "김해공항 확장 수용"…대구 "신공항 재추진" 맥 풀려

대구국제공항 1층 입국장이 중국 선양과 상하이, 베이징, 일본 오사카 등에서 온 관광객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msnet.co.kr
대구국제공항 1층 입국장이 중국 선양과 상하이, 베이징, 일본 오사카 등에서 온 관광객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정운철 기자 woon@msnet.co.kr
27일 대구국제공항 담벼락 위에 설치된 철조망 너머로 비행기가 착륙하고 있다. 성일권 기자 sungig@msnet.co.kr
27일 대구국제공항 담벼락 위에 설치된 철조망 너머로 비행기가 착륙하고 있다. 성일권 기자 sungig@msnet.co.kr

부산시가 27일 영남권 신공항 용역 결과와 관련, 정부의 김해공항 확장안을 수용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대구경북의 신공항 대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정부의 영남권 신공항 용역 결과를 철저하게 검증해 문제가 있을 경우 영남권 신공항 원점 재추진을 요구할 계획이었지만 울산, 경남에 이어 부산마저 정부의 김해공항 확장안에 동의하면서 신공항 재추진의 맥이 풀려버렸기 때문이다.

이에 대구경북이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도 줄었다. 우선 '김해공항 확장 불가' 주장을 하기 힘들게 됐다. 해당 지역인 부산시가 수용 방침을 밝혔고, 소음 등 직접 피해 지역인 김해 역시 아무 말을 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영남권 신공항 재추진도 요구할 수 있는 대안 중 하나지만 경남'울산'부산이 정부에 항복하면서 힘이 빠지게 됐다. 대구공항 확장에 무게가 실릴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에 '대구공항을 거점공항으로 키우자'는 목소리가 높아질 가능성이 커졌다. 정부 재정 사업으로 미주'유럽'중동 등의 중장기 노선 취항이 가능한 규모의 공항으로 대구공항을 확장하는 방안이다. 대구공항 확장에도 몇몇 경우의 수가 있다. ▷대구공항 제3의 부지로 확장 이전 ▷K2와 대구공항 대구 근교로 묶음 이전 ▷K2 이전 후 K2 부지 활용한 대구공항 확장 등이다. 그러나 대구공항 제3부지 이전이나 K2와 대구공항 묶음 이전은 현실성이 떨어진다. 정부가 김해공항 확장안과 함께 대구공항 존치를 결정했기 때문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대구공항 확장 이전을 요구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관건은 K2 이전이다. K2 이전 여부에 따라 대구공항 확장 여부 및 장소 등이 좌우될 수 있기 때문이다. K2가 계획대로 경북의 다른 곳으로 이전한다면 대구공항은 현재 위치에서 확장해 거점공항을 만들 수 있다. 대구경북 최고 입지를 찾아 대구공항을 이전하는 방안도 있지만 K2가 계획대로 이전하는데 대구공항까지 확장 이전시켜줄 가능성은 높지 않다.

그러나 영남권 신공항 무산 탓에 K2 이전이 무산된다면 상황은 달라진다. 이 경우엔 K2와 대구공항을 지금처럼 그대로 사용할 수밖에 없다.

상황이 이렇게 전개된다면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에 따른 책임을 지고 K2를 정부 재정사업으로 이전하라고 요구할 수밖에 없다. 정부의 영남권 신공항 백지화로 대구공항이 그대로 존속하게 되면서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추진되던 K2 이전 사업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K2를 국가 재정으로 이전시키고 그 부지를 활용해 대구공항을 확장하든지 아예 대구 근교로 K2와 대구공항을 함께 확장 이전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신공항 백지화에 이어 K2 이전까지 무산될 경우 대구경북민의 분노가 폭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경북도 관계자는 "허브공항이 됐든, 관문공항이 됐든 세계 어디에서든 비행기가 올 수 있는 공항을 만들어야 하는데, 활주로 길이 등 정부의 김해공항 확장 계획으로는 아시아를 벗어나기 힘들다"며 "이는 영남권 시도민들이 원했던 공항도, 신공항도 아닌 만큼 신공항을 원점에서 다시 추진하든지 대구경북에 중장거리 노선이 취항할 수 있는 공항을 만들어주든지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