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못 믿을 부동산 앱…서울지역 등록 앱 3곳 조사

100건 중 22건 실체 없는 매물

부동산 거래를 이어주는 부동산 앱 주의보가 떴다. 1인 가구가 늘면서 모바일 부동산 애플리케이션 이용자가 늘고 있지만 실제로는 매물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한국소비자원이 지난 4월 28일부터 5월 10일까지 3개 부동산 앱(직방'다방'방콜)에 등록된 서울지역 내 100개 원룸'오피스텔의 앱 내 게시된 정보와 실제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이 중 22건이 실체가 없는 매물로 나타났다. 가격이 다른 매물은 13개, 층수'옵션'구조'공인중개사 정보'역과의 거리'주차 가능 여부와 요금'엘리베이터 설치 여부 등 가격 외 정보가 다른 곳은 24개로 조사됐다.

실제 매물이 없는 22건의 경우, 전화 예약 후 방문했는데도 볼 수 없었으며, 이미 계약돼 볼 수 없다고 하는 경우가 15개(68.2%)를 차지했다. 집주인 또는 세입자가 연락되지 않은 경우가 2개(9.1%), 더 좋은 매물을 보여주겠다며 다른 곳으로 유도한 경우도 1개(4.5%) 있었다. 가격이 다른 13건 중에는 관리비가 차이 나는 매물이 9개로 가장 많았으며 월세는 3개, 보증금은 1개였다.

확인할 수 있는 78개 매물 중 전체 건물이나 해당 방 층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16개(20.5%)나 됐다. TV'침대'책상 등의 옵션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6개(7.7%)로 집계됐다. 특히 앱에 게시된 사진과 실제 모습이 다른 매물도 전체(78개)의 10%(8개)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거래가 완료된 매물 정보가 계속 게시될 경우, 허위'미끼성 매물로 인한 소비자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업자는 거래가 완료된 시점에 게시를 중단해야 한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