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北, 단거리 미사일 왜 쐈나…"성주 사드 타격 능력 과시"

북한이 19일 탄도미사일 3발을 또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
북한이 19일 탄도미사일 3발을 또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은 새벽 5시 45분부터 6시 40분께까지 황해북도 황주 일대에서 동해 상으로 탄도미사일 총 3발을 발사했다\"며 \"비행거리는 500∼600km 내외로 부산을 포함한 남한 전 지역을 목표로 타격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북한이 19일 우리나라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단거리 탄도미사일 3발을 동해상으로 발사했다.

미사일 발사가 이뤄진 것은 괌에 배치된 미군 사드 기지 공개 다음날로, 스커드C 또는 노동 미사일로 추정되고 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오늘 새벽 황해북도 황주 일대에서 동해 상으로 탄도미사일 총 3발을 발사했다"면서 "비행 거리는 500∼600km 내외"라고 밝혔다.

군의 한 관계자는 "이날 발사된 미사일 중 1발은 노동미사일을 고각으로 발사한 것으로 안다"면서 "나머지 2발은 스커드C 미사일로 추장되며 1발은 500여km를 비행했지만, 1발은 소실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는 주한미군의 한반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 배치를 겨냥한 '무력시위'라고 보고, 그 의도와 배경에 주목하고 있다.

◆남한 전 지역 타격 가능성 과시 목적

미사일이 발사된 황주에서 사드가 배치될 경북 성주까지 직선거리는 380여㎞. 그런데 스커드C 사정거리는 약 500km, 노동미사일의 사거리는 약 1300km로 한반도 전역을 타격권으로 두고 있다. 이 때문에 북한이 '성주 사드'에 대한 타격 능력을 과시하려 했다는 분석이 나오는 것이다.

합참 관계자는 "성주는 물론 부산까지 남한 전 지역을 목표로 타격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라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 11일 총참모부 포병국 '중대경고'를 통해 사드배치 장소가 확정되는 시각부터 물리적 대응조치가 실행될 것이라고 위협한 바 있으며, 한미 군 당국은 13일 사드 성주 배치를 발표했다. 또 사드 배치 반대 여론을 불식시키기 위해 18일에는 괌에 배치된 사드 기지를 공개하기도 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이 물리적 대응조치를 공언했기 때문에 북한 동향을 예의 주시하고 있었다"면서 "이번 미사일 발사도 당시 발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성주가 타격 목표 되면 민간인 피해 어쩌나

북한은 사드배치에 대한 반발 또는 무력시위의 일환으로 단거리미사일을 발사한 것으로 보이지만, 역설적으로 북한의 이번 미사일 발사는 사드배치의 필요성을 부각할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북한이 지난달 무수단에 이어 이날 노동미사일에 대해서도 고각 발사를 시도한 것은, 사거리가 200km의 신형 300㎜ 방사포와 스커드뿐만 아니라 중거리 탄도미사일인 노동 계열과 무수단 계열까지 총동원해 남한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군사력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라는 분석이다.

군 관계자는 "스커드 미사일은 북한이 성주 등을 타격하기 위해 동원할 가능성이 가장 큰 무기"라며 "사드가 배치되면 패트리엇과 함께 스커드 미사일에 대응한 다층 요격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고 했다.

한미 군 당국은 수도권 이남의 북한 탄도미사일 공격에 대해선 기존의 패트리엇과 사드로 다층 방어체제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사드의 요격고도(40∼150㎞)는 패트리엇(15∼40㎞)보다 높다. 북한이 스커드 미사일을 발사하면 먼저 사드로 요격을 시도하고, 이것이 만약 실패하면 패트리엇으로 다시 한번 요격을 시도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오히려 성주가 북한의 타격 목표임이 확인되면서 현지의 사드 반대 여론이 더욱 높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전자파 위해성 논란에 이어 북한의 가장 첫번째 타격 목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민들의 불안 심리가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스커드C 미사일의 경우 사격 오차가 2~4km로 군사시설과 같은 정밀타격 보다 인구밀집지역에 대한 무차별 공격에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이번 미사일 발사와 관계없이 성주 주민들을 설득하고 이해시키는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