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소리 종류 따라 공포 기억 다르게 저장"

한국뇌硏-서울대연구팀 공동 연구…순음·잡음·변조음 생쥐에 들려주니 다른 패턴 나타나

한국뇌연구원(원장 김경진)은 뇌질환연구부 이석원 선임연구원이 서울대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청각에 대한 공포 기억이 소리 종류에 따라 뇌에서 다른 방식으로 저장되며, 기억을 제거할 때도 각각 맞춤형 방법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4일 발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온라인 전문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8월 4일 자에 게재되며, 한국뇌연구원 이석원 선임연구원이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공포 기억은 뇌의 '편도체'라는 부위에 저장되며, 청각에 대한 공포 기억 역시 소리 종류에 상관없이 편도체에 저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선임연구원은 "공포를 일으키는 소리 종류에 따라 편도체에서 일어나는 시냅스 가소성(새로운 기억이 저장되거나 사라질 때 시냅스에 생기는 변화)이 달라졌다"며 "공포 기억을 제거할 때도 소리의 종류에 따라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고 이번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연구팀은 순음'잡음'변조음 등 3가지 소리를 생쥐에게 들려줘 공포 기억을 만든 뒤, 뇌의 편도체를 조사하자 서로 다른 패턴의 시냅스 가소성이 나타난 것을 확인했다.

또한 연구팀은 청각 공포 기억이 만들어진 쥐에 대해 공포 기억을 제거하려 했는데, 순음에 의한 공포 기억만 순조롭게 제거됐을 뿐 잡음이나 변조음에 의한 공포 기억은 잘 제거되지 않는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 결과는 외상 후 스트레스증후군(PTSD)과 같은 질환을 치료할 때 각각의 환자가 겪은 공포 자극에 따라 맞춤형 치료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공포 자극이 편도체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시냅스 가소성을 일으키는지 밝혀내는 연구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의 '4대 뇌연구 기반연구사업' 등의 예산 지원을 받아 진행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