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어 쓰는 학생 투서하면 성적에 반영"

대구교육청, 日帝 교육 자료 공개

대구시교육청이 11일 공개한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가 학교에 보급한 황국신민화 교육 사료 5점. 대구시교육청 제공
대구시교육청이 11일 공개한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가 학교에 보급한 황국신민화 교육 사료 5점. 대구시교육청 제공

제71주년 광복절을 앞두고 대구시교육청이 일제강점기 학교에서 황국신민화 교육 자료로 사용하던 사료를 공개했다.

교육청은 지난 4월부터 대구교육박물관 건립을 위해 기관단체와 시민들로부터 교과서, 학습 자재, 교복 등 각종 교육자료를 모으고 있다. 1930, 1940년대 조선총독부가 보급한 교육 사료를 수집했고, 지역 교사들이 머리를 맞대 사료 해석과 분석을 마쳤다.

11일 공개한 사료는 대흥공립보통학교의 '황국신민 서사', 공주공립고등여학교의 '우리들의 맹세', 숙명고등여학교의 '국어 환경조사'와 '본교의 수련', 동덕여자고등학교의 '국어 상용에 관한 규정' 등 5점이다.

'황국신민의 서사'(사진 왼쪽 상단)는 조선총독부가 1937년 국민정서 함양을 위해 조선인에게 외우도록 강요한 맹세문이다. 당시 일본은 학생들에게 '우리는 대일본제국의 국민입니다' '천황폐하에게 충의를 다하겠습니다' 등의 문구가 인쇄된 작은 수첩을 늘 지참하도록 했다.

여자 학교에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우리들의 맹세'(사진 왼쪽 하단)는 '여학생으로서 정숙하고 온순할 것' 등 9가지 사항을 실천하자는 맹세문으로 '좋은 일본 부인이 돼 일본의 기초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을 강요하는 내용이 담겼다.

학생 가정환경 조사 자료인 '국어 환경조사'(사진 오른쪽에서 두 번째)에는 ▷가족의 학력 및 일본어 상용 정도 ▷가족 중 일본어를 이해 못하는 사람의 숫자 및 지도 방법 등의 조사 항목이 포함됐다.

'국어 상용에 관한 규정'(사진 오른쪽) 역시 학생들에게 일본어 사용을 강제했음을 보여주는 자료다. '모든 교직원과 학생은 교내'외에서 일본어를 사용해야 한다' '한국어를 사용하는 경우 이름을 쪽지에 적어 투서함에 넣고 성적에 반영한다' 등 학교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한글을 말살하려는 의도를 볼 수 있다.

'본교의 수련'(사진 오른쪽에서 세 번째)은 조선의 황국신민화를 위한 학생들의 지도 방침을 담은 것으로 야스쿠니신사 신단 예배 등을 강요했다.

우동기 대구시교육감은 "이 자료를 통해 그동안 교과서를 통해서만 배웠던 식민지 교육의 실체를 체감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다시 한 번 광복의 의미와 민족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해 봤으면 한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